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19: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Borage seed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orage seed oil : 보리지씨 오일. 감마리놀렌산이 들어 있다. 감마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을 참조. 분류:Gamma linolenic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Borage seed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orage seed extract : 보리지씨 추출물. 지치의 일종인 보라고 오피시네일(Borago officinalis)이라는 식물의 추출물, 진정제 및 항염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Bois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ois oil : 보이스 오일 향의 일종으로 피부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oodwor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oodwort : 블러드워트 야로(yarrow)로도 알려짐. 야로 추출물(yarrow extract)을 참조. 분류:Yarrow)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dderwrack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adderwrack extract : 블래더랙 추출물, 해초에서 추출 효과적인 항산화제가 될 수 있으며 보습제로 작용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ckber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ackberry : 블랙베리.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베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5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ck t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black tea : 블랙티. 녹차(green tea)를 참조. 분류:녹차)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ck raspber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ack raspberry : 블랙라스베리, 막강한 항산화 기능이 있는 베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ck pepper extract and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ack pepper extract and oil : 블랙 페퍼 추출물과 오일. 바르는 역자극제로 피부에 상당한 자극이 있다. 역자극제(counter-irritant)를 참조. 분류:Counter-irri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ck mulber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ack mulberry : 블랙 멀베리, 피부에 발랐을 때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전혀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ck locus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ack locust extract : 블랙 로커스트 추출물, 식물 추출물로 항산화 효과가 있을 수 있 으나 독성 성분을 갖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ck elderber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ack elderberry : 블랙엘더베리 섭취하면 막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피부에 발랐을 때에도 같은 효과가 있는지는 아직 모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ck currant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ack currant oil : 블랙 커런트 오일, 비휘발성 식물 오일, 감마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ck cohos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lack cohosh: 블랙 코호시. 복용하면 생리통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피부에 발랐을 때의 효과가 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tter orange flow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tter orange flower : 비터오렌지 플라워, 오렌지블로섬 (orange blossom)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smuth oxychlo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smuth oxychloride :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 미네랄 메이크업' 이라 불리는 모든 파우더 제품의 주성분이다. 천연이라서 탈크보다 피부에 훨씬 좋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여러 면에서 탈크가 더 천연성분이며 불순물이 섞이지 않은 순수 성분에 가깝다.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는 납과 구리의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비스무스와 클로라이드(염소 복합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s-diglyceryl polyacyladip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s-diglyceryl polyacyladipate: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아실아디페이트, 연화제 및 농후제로 사용된다. 글리세릴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Glyceryl est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sabol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sabolol : 비사볼롤 캐모마일에서 추출하거나 합성해 만든다. 진정제 분류:Chamomil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rch leaf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rch leaf extract : 버치 리프 추출물, 자작나무 잎 추출물, 자작나무 껍질(birch bark) 을 참조. 분류:Birch)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rch bark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rch bark extract : 버치 바크 추출물,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버튤러 알바(Betula alba) 자작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물질. 막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수렴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성분이 많이 함유되면 피부에 자극적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9: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o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otin : 바이오틴, 비타민 H로 알려진 물질. 수용성 비타민으로 장내의 특정 박테리아를 통해 생성되거나 음식에서 섭취할 수 있다. 비타민 B의 일종으로 탄수화물, 지방, 아미노 산의 신진대사를 위해 필요하다(단백질 블록을 형성). 그러나 발랐을 때 피부에 이로운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8: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oflavono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oflavonoid : 바이오플라보노이드, 과일과 야채를 구성하는 광범위한 물질, 대부분 항산화 기능이 잠재적으로 있고 유전자 관리 활동을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lbery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lbery extract : 빌버리 추출물, 몇몇 연구들은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하지만 피부에 같은 작용을 하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fidus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fidus extract : 비피더스 추출물, 인간의 젖에 함유된 탄수화물로 장내 젖산균 (Lactobacillus bifidus)의 성장을 자극한다. 젖산균은 장의 pH 함랑을 줄이고 에스케리치아 콜리 (Escherischia coli)나 다른 병원균을 억제한다. 비피더스추출물이 피부에 이로운 지는 알려진 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Bifida ferment lys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fida ferment lysate : 비피다발효용해물, 소화기관에서 발견되는 그람 양성균 (gram-positive bacteria ·그림 테스트에서 반응하는 세균-역주), 피부에 바르는 효과는)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BH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HT: 뷰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의 약자로 합성물질이며, 항산화 기능과 발암 작용을 한다. BHA를 참조. 분류:BH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BH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HA: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산솔(butylated hydroxyansole). 막강한 항산화제지만 동시에 발암 물질이라는 견해도 있다. BHA라는 이름 때문에 베타하이드록시산(BHA)인 살리실산으로 착각하는데 이 물질은 각질 제거제이다. 살리실산은 흔히 BHA로 불리지만 성분 표시에서는 살리실산(salicylic acid)으로 표기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tula alb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tula alba : 베툴라 알바 자작나무의 라틴 학명.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birch bark extract)을 참조. 분류:Birch)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ta-gluca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ta-glucan : 베타-글루칸,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라고도 불리며 이스트에서 추출되는 당(전분이나 셀룰로즈 등)의 일종이다.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강력한 항염제이다. 무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를 참조. 분류:Muco poly sacchari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ta-carote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ta-carotene : 베타-카로틴,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색소)의 한 종류. 리코펜, 루테인 등 수백 종의 카테로이드가 있다. 베타카로틴은 레티놀(비타민A) 형성을 돕는다. 레티놀은 필요할 때 간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된다. 베타카로틴은 피부에 발랐을 때 잠재적인 항산화제가 될 수 있다. 복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태양에 의한 손상을 줄여준다. 너무 많은 양의 베타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ta sitroster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ta sitrosterol: 베타시트로스테롤, 식물추출물의 하나로 콜레스테롤과 비슷해 항균 작용을 한다. 이로 인해 건강한 피부 세포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물질이 항염 효과가 있다는 일부 연구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ta hydroxy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ta hydroxy acid : 베타하이드록시애씨드, 베타하이드록시산(BHA) 살리실산(salicylic acid)을 참조. 분류:BHA 분류:Salicylic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rtholletia excels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rtholletia excelsa extract : 베르톨레시아 엑셀사 추출물, 브라질넛 추출물, 브라질넛 추출물(Brazil nut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rgamot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rgamot oil : 베르가모트 오일, 피부에 바르면 감광성 반응이나 광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포에 안 좋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뜻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rberis arista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rberis aristata: 베르베리스 아리스타타, 바베리의 라틴 학명, 바베리 (barberry)를 참조. 분류:Barberry)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yl alcohol: 벤질알코올, 알코올(alcohol)을 참조. 분류:Alcohol)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yl perox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yl peroxide :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이며 널리 사용되는 바르는 향균제이다. 상당수의 연구들이 벤조일퍼옥사이드의 효과에 대해 철저하게 분석하고 증명했다. 벤조일퍼옥사이드의 가장 주요한 기능 중 하나는 모낭을 뚫고 들어가 문제를 일으키는 박테리아를 박멸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피부에 자극을 줄 위험이 아주 적다. 또한 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6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thonium chlo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thonium chloride : 벤조토늄 클로라이드. 방부제로 쓰이며 다른 방부제에 비해 피부 자극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phen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phenone: 벤조페논, UVB와 일부 UVA를 차단하기 위해서 쓰이는 자외선 차단 성분, UVA를 참조. 분류:UV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in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in extract : 벤조인 추출물, 방향성 수지로 소독 효과와 함께 향을 내는 효과가 있다. 자극 성분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ic acid : 벤조익애씨드, 벤조산, 즉 안식향산이다. 방부제로 쓰인다. 다른 방부제에 비해 피부 자극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ca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caine : 벤조카인, 바르는 마취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ephenone-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ephenone-3 : 벤제페논3. 옥시벤존(oxybenzone)이라고도 불린다. UVB와 일부 UVA를 막는 자외선 차단 제품에 사용한다. UVA의 모든 종류를 차단해 주지는 않는다. UVA를 참조. 분류:UV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alkonium chlo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alkonium chloride : 벤잘코늄클로라이드, 항균 기능이 있어서 방부제로 쓰인다. 하지만 여드름균인 프로미오니박테리움 애크니 (Propionibacterium acnes)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보고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toni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tonite : 벤토나이트, 피지 흡수제로 쓰이는 클레이(진흙) 형태의 물질. 피부를 건조하게 할 수 있지만 지성 피부의 피지를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llis perenn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llis perennis : 벨리스 페레니스, 데이지의 라틴 학명, 데이지꽃추출물(daisy flow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hen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henyl alcohol : 비헤닐알코올 농후제, 알코올이지만 자극적인 형태가 아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hentrimonium chlo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hentrimonium chloride : 비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피부 컨디셔닝제이자 연화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hen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henic acid : 비헤닉애씨드, 베헨산 농후제와 계면활성제로 쓰이는 지방산, 지방산 (fatty acid)을 참조. 분류:Fatty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esw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eswax: 비즈왁스, 밀랍, 벌집을 지을 때 벌이 만들어내는 물질, 농후제로 쓰이며 연화제의 효과도 어느 정도 있다.)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