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29일 (화) 17: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Essential oil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ssential oils: 에센스 오일. 휘발성 오일 (volatile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scul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sculin: 에스쿨린 마로니에 열매의 성분으로 독소로 여겨지며 피부에 해롭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6: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Esc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scin : 에스신, 호스체스트넛(horse chestnut.Aesculus hippocastanu)에서 추출하며 통증, 피로, 긴장, 하지부종, 가려움증, 부종과 같은 만성적 정맥질환의 경구용 처방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호스체스트넛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독성 에스쿨린 (esculin)을 함유하기 때문에 치명적일 수 있고, 어떠한 전문가들은 처방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의 에스신을 함유한 젤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6: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Erythrulo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rythrulose : 에리스룰로우스 또는 에리스룰로즈, 셀프 태닝제인 디하이드록시아세톤과 화학적으로 비슷한 물질. 개인의 피부에 따라 변색의 정도가 다르다. 디하이드록시아 세론은 2~6시간 안에 피부색을 완전히 변화시키지만, 에리스룰로즈는 변화가 나타나기 까지 2~3일이 걸린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6: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rythropoie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rythropoietin 에리스로포이에틴. Epo. 세포 성장을 촉진해 몸 전체에 산소를 전달한다. 인간성장인자(human growth facto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5: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Eruc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rucic acid 에루식애씨드, 에루시산. 지방산의 한 종류. 지방산(fatty acid)을 참조. 분류:Fatty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5: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Eriobotrya japonic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riobotrya japonica: 에리오보트리아 자포니카 비파나무 추출물(loquat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5: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Ergothione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rgothioneine: 에르고치오네인.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동물 조직의 구성 요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5: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Ergocalcifer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rgocalciferol : 에르고칼시페롤, 비타민 D의 학술적 명칭. 비타민 D(Vitamine D)를 참조. 분류:Vitamine 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5: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Equisetum hiemal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quisetum hiemale extract : 에퀴세툼 히에말추출물, 속새 추출물, 호스테일 추출 물(horsetail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5: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Equisetum arven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quisetum arvense : 에퀴세툼 아르벤스. 쇠뜨기의 라틴 학명. 호스테일 추출물 (horsetail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5: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Epigallocatechin-3-gall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pigallocatechin-3-gallate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녹차(green tea)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5: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Epilobium angustifolium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pilobium angustifolium extract: 에피로비움 앵구스티폴리움 추출물, 윌로우추출물, 흔히 파이어워드(fireweed) 혹은 윌로우(willow)라고 알려진 식물 추출물, 항균과 진정 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4: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Epidermal growth facto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pidermal growth factor: EGF. 상피세포성장인자. 다양한 세포의 세포 분열을 자극 한다. 화상과 상처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플라시보(위약 효과일 뿐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성장인자의 심각한 부작용은 경구 복용시에 일어난다(인)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4: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Ephedra sinic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phedra sinica extract : 데페드라 시니카 추출물, 마황. 타닌의 함유량이 높고 휘발성이 있다. 오일과 독성이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4: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Enzym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nzymes : 엔자임, 효소, 모든 생물이 생산하는 방대한 그룹의 단백질 분자. 광합성, 세포대화 기능 보조, 유리기 손상의 방지 등 여러 화학적, 생물학적 작용에 영향을 준다. 화장품 성분으로서 효소는 각질 제거를 촉진하고 피부의 전반적인 생리 과정을 도와 노화나 햇볕 손상을 늦추고 유리가 손상을 막는다. 효소의 작용 과정은 매우 복잡하다. 한화학적 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4: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Enteromorpha compress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nteromorpha compressa extract : 엔테로모르파 콤프레사 추출물, 납작파래추출물, 녹색의 일종. 조류(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4: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Ensulizol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nsulizole : 엔술리. 예전에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이라고 표기되었던 자외선 차단 성분,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 표시에는 엔슐리졸로 표기한다. UVB를 차단하는 성분으로 UVA 차단 기능은 미약하다. 엔리졸은 290~340 나노미터의 가시광선을 커버하지만, UVA는 320~400나노미터에 이른다. 완벽한 UVA 차단을 위해서는 아보벤존, 티타늄디옥...)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4: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English ivy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nglish ivy extract : 잉글리시 아이비 추출물, 서양송악 추출물, 자극과 수렴 효과로 인해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4: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Emu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mu oil : 에뮤오일. 날지 못하는 호주의 큰 새인 에뮤의 오일은 호주 경제에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에뮤 오일이 피부를 치료하는 좋은 연화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호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Emollie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mollient : 에몰리언트 연화제 수분 손실을 방지해 피부에 부드러운 윤기를 주고 왁스 같은 질감으로 화장품의 농도를 진하게 한다. 연화제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2장의 건강한 피부, 꼭 지켜야 할 피부원칙 편을 참조하기 바란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Emblica officinal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mblica officinalis: 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인디언구스베리 나무의 학명.)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Elecampa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lecampane : 엘레캄페인. 목향. 심한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알레르기 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Elderber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lderberry : 엘더베리.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las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lastin : 엘라스틴, 피부 속 성분으로 유연성과 관련이 있다. 햇볕 손상은 피부의 엘라스틴 손실을 가져온다. 엘라스틴은 동식물 모두에서 추출되며 훌륭한 보습 성분으로 쓰인다. 하지만 화장품 속의 엘라스틴은 피부의 엘라스틴 양에 영향을 주거나 다른 이로운 작용을 하지 않고 보습 효과만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Elaeis guineens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laeis guineensis: 엘라에이스 귀니엔시스, 기름야자의 라틴 학명, 기름야자 오일 (palm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Eicosapentaeno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icosapentaenoic acid : 에이코사펜타에노익애씨드, 에이코사펜타에니옥산, 연어오일에서 추출하는 지방산, 훌륭한 연화제로 쓰인다. 지방산(fatty acid)을 참조. 분류:Softner 분류:Fatty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Egg yol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gg yolk : 에그요크, 계란 노른자. 대부분 수분과 지질(지방)로 이루어지는데 훌륭한 연화제와 보습제로 작용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ED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DTA: 이디티에이, 에칠렌디아마인테트라아세틱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의 약자. 화장품에서 미량원소(특히 미네랄)의 응집을 방지하는 안정화제로 쓰인다. 미량 원소는 물이나 다른 성분들에 존재하며 질감, 향기 등에 변형을 가져와 제품을 상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을 일컬어 전문 용어로 킬레이트제 (chelating agent)라고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Ecto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ctoin : 엑토인, 스킨 컨디셔닝제로 안정화제로도 작용한다. UVA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는 소수의 연구 결과가 있으며 모이스처라이저의 질감을 산뜻하게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정확히 피부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녹차나 석류 추출물 등 다른 성분보다 환경 손상을 더 혹은 덜 막아주는지에 대한 정확한 결론이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3: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Ecamsul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camsule: 에캄슐, 멕소릴SX의 또 다른 표기. 멕소릴SX (Mexoryl SX)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AC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네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916.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3년 8월 29일 (화) 11: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916.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3년 8월 29일 (화) 11: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Durvillaea antarctic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urvillaea antarctica extract: 두르빌라에 아안타티카 추출물, 해조류의 일종에서 추출. 조류(algae)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Dul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ulse : 덜스. 홍조류의 일종. 조류(algae)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Dromiceius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romiceius oil : 드로미세이우스 오일 에뮤오일 (emu oil)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Dong qua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ong quai : 당귀, 에스트로겐 활동을 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월경증후군 및 월경전증후 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몇몇 연구들은 이를 부정한다. 또한 이 물질이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자극한다는 연구도 있다. 당귀를 피부에 발랐을 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없다. 분류:당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Dogwoo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ogwood : 도그우드, 말채나무,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Dog ro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og rose : 도그로즈, 로즈힙의 별칭. 로즈힙(rose hip)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Docosahexaeno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ocosahexaenoic acid : 도코사헥사에노익애씨드, 도코사헥사에노익산, 지방산(fatty acid)을 참조. 분류:Fatty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DN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NA: 디앤에이, 디옥시리보뉴클레익애씨드, 디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의 약자 DNA는 모든 세포에서 발견된다. 유전적 특질을 세포에 전달하는 유전자의 주성분 이자 모든 유전자 구조의 기본이다. DNA의 구성 성분에는 아데닌(A), 구아닌(G), 타이민 (T), 시토신(C)이 있다. 이 물질들의 지도는 인간의 모든 형질과 세포 기능에 대한 유전 정보를 구성한다. DNA는...)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DMDM hydanto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MDM hydantoin DMDM 히단토인, 포름알데히드 방출 방부제, 포름알데히드 방출 방부제 (formaldehyde-releasing preservativ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DMA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MAE: 디엠에이이,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디메틸아미노에탄올(dimethylaminoethanol)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steardimonium Hectori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steardimonium Hectorite :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침강 방지제로 쓰이며 색소와 함께 쓰이기도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sodium rutinyl disulf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sodium rutinyl disulfate : 디소듐루티닐디설페이트, 셀룰라이트 감소 성분으로 주로 사용되나 이 항산화제가 셀룰라이트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sodium lauraminopropio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sodium lauraminopropionate: 디소듐라우라미노프로피오네이트, 순한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참조 분류:Surfac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sodium glyceryl phosph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sodium glyceryl phosphate:디소듐글리세릴포스페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사용. 글리세린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Glyceryl ester 분류:Softner 분류:Thickn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sodium ED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sodium EDTA:디소듐 EDTA, EDTA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sodium diglyceryl phosph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sodium diglyceryl phosphate : 디소듐디글리세릴포스페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사용 글리세린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Glyceryl ester 분류:Thickner 분류:Softner)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