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16: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taxanthin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taxanthin extract : 아스타잔틴 추출물, 식물, 해초류, 생선, 특히 연어에서 많이 발견 되는 카로티노이드(카로틴 색소), 강력한 항산화제이다. 연구에 따르면 UVA 노출로 인해 생긴 유리기 손상을 막는 기능을 한다고 한다. 분류:Astaxanthin 분류:Antioxid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taxanth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taxanthin : 아스타잔틴, 분류:Astaxanthi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part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partic acid : 아스파틱애씨드,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분류:Amino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paragopsis armat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paragopsis armata extract : 아스파라시스 아르마타 추출물, 해초 추출물, 조류 (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parag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paragine : 아스파라긴산,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분류:Amino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27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corbyl palmi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안정적이며 비산성인 비타민 C로 항산화 제로서 효과적이다. 분류:Vitamine C)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2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corbyl methylsilanol pecti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corbyl methylsilanol pectinate: 아스코르빌 메칠실란올 펙티네이트, 항산화와 농 후제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비타민 C의 일종. 비타민 C(Vitamine C)를 참조. 분류:Vitamine C)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corbyl glucos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corbyl glucoside :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글루코스와 결합된 비타민 C의 일종. 항산화 기능이 있지만 극소수의 연구만이 이를 증명한다. 항산화 효과를 증명하는 한 연 구는 이 성분을 니아신아미드와 배합해 사용했다. 항산화 효과는 배합의 효과일 수도 있고 니아신아미드만의 효과일 수도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corbyl glucosam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corbyl glucosamin : 아스코르빌 글루코사민 비타민 C의 일종이지만 다른 비타민 C 에서 볼수 있는 항산화나 피부 미백 기능이 있다는 연구는 거의 없다. 한 연구에서는 피부 미백 효과가 별로 없다고 밝혀지기도 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corb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corbic acid : 아스코빅애씨드,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의 일종으로 항산화 기능을 한 다. 구강 복용을 했을 때 항암 기능이 있다. 화장품 성분으로 안정화하기 힘들다. 산성이 라서 피부에 자극이 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cophyllum nodos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cophyllum nodosum: 노티드랙. 해초의 일종. 조류(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18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temisia vulgar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temisia vulgaris : 쓴쑥추출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3: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민화작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민화작가 분류:민화)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3: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998.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13: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998.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13: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997.jpe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13: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997.jpe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13: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유은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은정 건국대학교에서 공예미술을 전공했다. 1회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설촌창작민화연구회가 기획한 <리메이크 창작민화전> 1~4회, 설촌창작민화연구회 회원전 1~4회에 참여했다. 현재 설 촌창작민화연구회 회원, (사)한국민화협회 회원, (사)한국미술 협회 회원이다. 섬네일|<여행18>, 2023, 장지에 수간분채, 53x45cm 구름 위 저 비행기처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3: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여행18.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13: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여행18.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10: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temisia absinthium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temisia absinthium extract : 아르테미시아 압신시움 추출물, 쓴쑥추출물, 머그워트 추출물(mugwort extract)을 참조. 분류:Mugwor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temi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temia extract : 아르테미아 추출물, 조류(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rowroo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rowroot : 애로루트, 농후제 알려진 효과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nic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nica extract : 아르니카 추출물,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 수술 전 아르니카를 섭취하면 염증을 줄이고 멍도 완화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하지만 성분사전을 위해 참고했던 여러 과학 및 의학 저널에는 아르니카가 박피 피부 에는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말라는 경고가 있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girel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gireline : 아르지렐린, 아세틸헥사펩타이드3 (acetyl hexapeptide-3)을 참조. 분류:Acetyle hexapeptide-3)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gin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ginine : 알지닌, 항산화 효과 및 상처 치료 효과가 있는 아미노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ctostaphylos uva ursi lea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ctostaphylos uva ursi leaf : 악토스파필로스 우바우르시잎. 베어베리 잎 추출물 베어베리(bearberry)를 참조. 분류:Bearberry)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ctium lapp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ctium lappa: 악티늄 라파 우엉, 버독 뿌리 (burdock root) 참조. 분류:우엉)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bu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butin: 알부틴, 베어베리 (bearberry), 덩굴월귤열매(크랜베리), 블루베리, 몇 가지 버섯, 대부분의 배나무 등의 잎에서 추출되는 하이드로퀴논 파생물질이다. 알부틴의 하이드로퀴논 성분으로 인해 멜라닌 억제 효과가 있다. 알부틴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설득력이 있지만(거의 대부분의 연구들이 동물이나 시험관 실험을 거쳤다), 함유량에 대한 기준은 아직...)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achis hypogae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achis hypogaea extract : 땅콩추출물, 흔히 땅콩으로 알려진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 연화제 및 항염제로 쓰일 수 있다. 땅콩은 5대 알레르기 물질 중 하나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achidyl propio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achidyl propionate: 아라키딜프로피오네이트, 아라키딜알코올의 내용과 같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achid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achidyl alcohol: 아라키딜알코올, 연화제 및 농후제로 쓰이는 왁스 성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achidon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achidonic acid: 아라키돈산 인지질과 지방산에서 생산되며 피부에 발랐을 때 안전 하지 않으며 유전자 변이를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확정적인 것은 아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rachid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rachidic acid : 아라키딕애씨드, 아라키드산, 땅콩 오일에서 추출되며 연화제 및 농후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quapor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quaporin : 아쿠아포린, 생명체 안에서 피부 및 다른 기관의 수분 보유율을 조절하는 수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총 10개의 단백질군이 있다. 아쿠아포린3은 사람과 동물의 피부 에서 많이 발견된다. 아쿠아포린과 관련한 수로를 통한 글리세롤 흡수와 이동은 세포의 수분 손실을 방지해 피부 탄력을 증가시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Apricot kernel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pricot kernel oil : 아프리커넬오일, 살구씨를 압착해 짜낸 오일, 연화제로 쓰인다. 다른 무향의 식물 오일과 비슷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18 Yuanje 토론 기여님이 Apricot kerne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pricot kernel : 아프리콧커넬, 살구 씨. 곱게 갈아서 천연 각질제로 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Anti oxidant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d내용: "antioxidant". 유일한 편집자는 "Yuanje" (토론))
- 2023년 8월 27일 (일) 10: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Anti oxida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tioxid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ntioxida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tioxidant : 항산화제, 유리기 손상으로 인한 노화 현상을 경감시키는 모든 성분, 유리기 손상(free-radical damag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15 Yuanje 토론 기여님이 Anti-irrita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ti-irritant : 진정제, 항균에 관한 내용과 같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nti-inflammato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ti-inflammatory: 항염(抗炎), 항염제, 붓기, 짓무름, 통증, 자극, 붉어짐 등의 모든 염증 반응을 경감시키는 성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ntibacteria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tibacterial : 항균(抗), 항균제, 박테리아의 증식을 억제하고 다스리는 모든 물질. 기초제품에서는 특히 여드름 균을 살균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nthocyan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thocyanin : 안토시아닌, 과일과 야채, 식물에 고유의 색을 내게 하는 천연 염료, 식물'과 '푸른색'을 의미하는 2개의 그리스어에서 파생한 이름이다. 블루베리를 푸른색으)
- 2023년 8월 27일 (일) 10: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Medicinal herb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dicinal herbs 분류:Herbs)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Chamomil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amomile 분류:Medicinal herbs)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Anthemis nobilis Flower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themis nobilis Flower extract : 안테미스 노빌리스 꽃 추출물, 캐모마일 꽃 추출물, 캐모마일(chamomile)을 참조. 분류:Chamomil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nnato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nato extract : 아나토 추출물, 남아메리카산 관목인 빅사 오렐라나의 과육에서 추출 된 천연 식물성 염료, 오렌지 기가 있는 노란색에서 붉은 색까지 만들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Ani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ise: 아니스, 팔각회향. 아니시드(aniseed)라고도 표기. 잠재적 항산화 및 항균 성분 이다. 하지만 향 때문에 자극적이며 광감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0: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Anisaldehy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isaldehyde : 아니스알데하이드, 합성 향료. 분류:합성향료)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