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17: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ta sitroster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ta sitrosterol: 베타시트로스테롤, 식물추출물의 하나로 콜레스테롤과 비슷해 항균 작용을 한다. 이로 인해 건강한 피부 세포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물질이 항염 효과가 있다는 일부 연구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ta hydroxy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ta hydroxy acid : 베타하이드록시애씨드, 베타하이드록시산(BHA) 살리실산(salicylic acid)을 참조. 분류:BHA 분류:Salicylic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rtholletia excels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rtholletia excelsa extract : 베르톨레시아 엑셀사 추출물, 브라질넛 추출물, 브라질넛 추출물(Brazil nut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rgamot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rgamot oil : 베르가모트 오일, 피부에 바르면 감광성 반응이나 광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포에 안 좋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뜻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rberis arista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rberis aristata: 베르베리스 아리스타타, 바베리의 라틴 학명, 바베리 (barberry)를 참조. 분류:Barberry)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yl alcohol: 벤질알코올, 알코올(alcohol)을 참조. 분류:Alcohol)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yl perox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yl peroxide : 벤조일퍼옥사이드. 상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이며 널리 사용되는 바르는 향균제이다. 상당수의 연구들이 벤조일퍼옥사이드의 효과에 대해 철저하게 분석하고 증명했다. 벤조일퍼옥사이드의 가장 주요한 기능 중 하나는 모낭을 뚫고 들어가 문제를 일으키는 박테리아를 박멸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피부에 자극을 줄 위험이 아주 적다. 또한 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6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thonium chlo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thonium chloride : 벤조토늄 클로라이드. 방부제로 쓰이며 다른 방부제에 비해 피부 자극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phen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phenone: 벤조페논, UVB와 일부 UVA를 차단하기 위해서 쓰이는 자외선 차단 성분, UVA를 참조. 분류:UV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in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in extract : 벤조인 추출물, 방향성 수지로 소독 효과와 함께 향을 내는 효과가 있다. 자극 성분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ic acid : 벤조익애씨드, 벤조산, 즉 안식향산이다. 방부제로 쓰인다. 다른 방부제에 비해 피부 자극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oca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ocaine : 벤조카인, 바르는 마취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ephenone-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ephenone-3 : 벤제페논3. 옥시벤존(oxybenzone)이라고도 불린다. UVB와 일부 UVA를 막는 자외선 차단 제품에 사용한다. UVA의 모든 종류를 차단해 주지는 않는다. UVA를 참조. 분류:UV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zalkonium chlo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zalkonium chloride : 벤잘코늄클로라이드, 항균 기능이 있어서 방부제로 쓰인다. 하지만 여드름균인 프로미오니박테리움 애크니 (Propionibacterium acnes)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보고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ntoni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ntonite : 벤토나이트, 피지 흡수제로 쓰이는 클레이(진흙) 형태의 물질. 피부를 건조하게 할 수 있지만 지성 피부의 피지를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llis perenn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llis perennis : 벨리스 페레니스, 데이지의 라틴 학명, 데이지꽃추출물(daisy flow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hen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henyl alcohol : 비헤닐알코올 농후제, 알코올이지만 자극적인 형태가 아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hentrimonium chlo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hentrimonium chloride : 비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피부 컨디셔닝제이자 연화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hen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henic acid : 비헤닉애씨드, 베헨산 농후제와 계면활성제로 쓰이는 지방산, 지방산 (fatty acid)을 참조. 분류:Fatty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esw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eswax: 비즈왁스, 밀랍, 벌집을 지을 때 벌이 만들어내는 물질, 농후제로 쓰이며 연화제의 효과도 어느 정도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e poll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e pollen : 비폴렌. 꿀벌화분(花粉). 꿀벌이 먹는 꽃밥 속의 꽃가루, 항산화 효과가 있으나 피부에 발랐을 때에도 그러한 기능이 있는지는 증거가 없다. 자극과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Bearberry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arberry extract : 베어베리 추출물, 월귤나무 추출물,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피부 미백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다. 하지만 하이드로퀴논과 알부 틴이 함유된 물질이라서 미백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하이드로퀴논이 멜라닌 생성을 방지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알부틴에 대한 연구는 훨씬 적지만 고농축 으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y leaf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y leaf oil : 월계수잎 오일. 강력한 항산화 성분이다. 하지만 향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 일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t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tyl alcohol : 바틸알코올, 글리세린 파생물로 성분 안정제 및 컨디셔닝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rley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rley extract : 보리 추출물, 섭취 시 항산화 효과가 있지만 피부에 발랐을 때에도 같은 효과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rium sulf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rium sulfate: 바륨설페이트, 미백제로 사용되는 미네랄 성분,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7: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rber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rberry : 바베리, 매자나무속 식물로 주성분인 버버린(berberin)이 알칼리성이라서 항균 및 항염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항염 작용을 하는 만큼 피부에 자극적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nan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nana extract : 바나나 추출물, 아주 약한 항산화 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lsam peru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lsam peru : 발삼페루, 기름기가 많은 송진으로 피부에 바르면 알레르기와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킨다. 부작용이 크기 때문에 알레르기 패치 실험의 표준으로 쓰인다. 알려진 3,000가지 알레르기 항원 중에서 가장 부작용이 높은 10대 물질로 꼽힌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lm min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lm mint extract : 밤민트추출물, 향 식물에서 추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항바이러스 성질도 가지고 있다. 상처 치료 기능은 그다지 크지 않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smetic Ingredients/acetylated lanolin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acetylated lanolin == acetylated lanolin 라놀린에서 추출한 연화제 참조: lanolin". 유일한 편집자는 "Yuanje" (토론))
- 2023년 8월 27일 (일) 16: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smetic Ingredients/acetylated castor oil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acetylated castor oil == acetylated castor oil 연화제 농후제 참조: glyceryl ester". 유일한 편집자는 "Yuanje" (토론))
- 2023년 8월 27일 (일) 16: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cillus subtil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cillus subtilis : 바실루스 브틸리스, 자연 발생하는 박테리아로 식물의 질병이나 곰팡이 침투, 일부 버짐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신뢰할 만한 정보에 따르면 이 박테리아는 사람이나 환경에 해롭지 않다고 한다. 피부에 발랐을 때 이로운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Babassu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bassu oil : 바바수 오일. 연화제로 쓰이는 식물성 오일. 피부에 그다지 특별한 기능을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zule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zulene : 아줄렌 주로 색소로 사용되는 캐모마일추출물,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이 성분은 UVA에 노출되면 세포 변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루 종일 바르고 다니는 제품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분류:Chamomil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zuki bean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zuki beans : 아주키 콩 팥 스크럽의 알갱이로 사용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zele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zelex: 아젤렉스, 아젤라익산(azelaic acid)을 참조. 분류:Azelaic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zela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zelaic acid : 아젤라익산, 처방약으로 사용되는 아젤렉스(Azelex)가 있다. 밀, 호밀, 보 리 등 곡류에서 추출된 성분이다. 크림 안에 15~20%의 농도로 함유되었을 때 효과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2년 FDA는 아젤라익산의 여드름 치료 효과를 인정했다. 아젤라익산은 여드름 치료제로 쓰이지만 색소 침착 치료에도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예를 들어보자. 2...)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Azadirachta indic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zadirachta indica: 아자디라챠 인디카 님 나무(neem tree)의 명칭 중 하나. 님 추출 물(neem extract)을 참조. 분류:Neem)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wapuh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wapuhi 아와푸이. 야생생강(wild ginger)의 영어 이름, 생강추출물(ginger extract)을 참조. 분류:Wild ging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vocado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vocado oil : 아보카도 오일, 다른 비향성 식물 오일과 비슷한 연화제로 사용된다. 항산화 효과가 있다.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를 참조.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vobenz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vobenzone : 아보벤존 합성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파솔(Parsol) 1789 부틸 멘디 벤존에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으로도 표기된다. UVA 자외선의 모든 범위를 차단해 준다. UVA 참조. 분류:UV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vena sativ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vena sativa:아베나 사티바 귀리의 라틴 학명. 귀리(oat) 추출물은 항염제와 진정제 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tractyloydes lancea roo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tractyloydes lancea root extract : 아트락틸로이드 랜시아 뿌리추출물, 엉겅퀴 뿌리 추출물. 엉겅퀴(Thistle Daisy)로 알려진 뿌리 추출물로 베타 유데스몰(beta-eudesmol)이 함유되어 중국, 일본 등에서 제2유형 당뇨의 대체의약제로 쓰인다. 엉겅퀴 안의 다른 일부 성분들도 항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추출물을 피부에 발랐을 때 이로운 작용이 있는지는...)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AT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TP:에이티피,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adenosine triphosphate)를 참조. 분류:Adenosine triphosphat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tragalus sinic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tragalus sinicus 아스트라갈루스 시니쿠스 황기(milk vetch root)를 참조. 분류:황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황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lk vetch)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황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lk vetch 분류:황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Astragalus membranace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stragalus membranaceus : 아스트라갈루스 멤브라나세우스 동양의 약초인 황기의 라틴 학명이다. 서양에서는 밀크 베치(milk vetch)로 알려져 있다. 황기(milk vetch root) 를 참조. 분류:황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16: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Antioxida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tioxidant)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