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28일 (월) 03: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rageena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rageenan : 카라기난, 농후제로 쓰이는 해초 검 (gum)으로 보습 성분이기도 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ob frui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ob fruit extract : 캐럽열매추출물, 항산화 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nosol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nosol acid : 카르노솔애씨드, 카르노솔산, 카노직산(carnosic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nos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nosine : 카르노신, 아미노산의 구성요소로 항염증과 항산화 기능이 있다. 항당화 (antiglycation) 효과도 있다는 연구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Rosema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osemary 분류:Herbs)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nos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nosic acid : 카르노식애씨드, 카르노식산 로즈마리의 구성물로 막강한 항산화 기능이 있다. 분류:Rosemary)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nit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nitine: 카르니틴, 자연 생성 아미노산,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부족해지면 근육 상실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 카르니틴, 특히 아세틸- L 카르니틴(acetyl-L-carnitin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생물학적으로 노화와 뇌 기능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피부에 발랐을 때 영향을 줄지에 대한 연구는 알려진 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nauba w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nauba wax : 카나우바 왁스, 딱딱하고 굳은 질감을 지닌 식물 왁스, 화장품에 쓰이는 주요 농후제 성분이다. 또한 피막 형성 및 흡수에 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m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mine: 카민, 말린 암컷 연지벌레에서 추출한 천연 붉은 색소, 립글로스, 립스틱 등에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damo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damom : 카더멈, 생강류 식물로 향료로 쓰인다. 카더멈의 주성분인 테르펜 (terpene)은 피부를 자극하는 성분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boxyl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boxylic acid : 카복실릭애씨드, 카복실산, 카르복실산, L카르니틴(L-carnitin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bop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bopol: 카보폴 카보머(carbomers)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bom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bomer : 카보머. 젤 질감을 내는 데 쓰이는 농후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ame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amel: 카라멜 캐러멜, 천연 색소로 사용.)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psicum oleores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psicum oleoresin : 캡시쿰 올레오레진 캡시쿰 식물에서 추출되는 지방수지,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각질 제거나 박피 피부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캡시쿰(capsicum)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psic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psicum: 캡시쿨. 고추 열매. 넓은 의미에서 고추 종을 일컬으며 칠리페퍼와 파프리카가 이에 속한다. 근육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정제(anti-irritant)로 사용된다. 캡시쿰과 캡시쿰 추출물은 알레르기 반응과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박피 피부에 사용하면 안 된다. 진정제(anti-irritant)를 참조. 분류:Anti-irritant(진정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psaic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psaicin : 캡사이신, 고추 열매. 캡시쿰(capsicum)의 구성 요소, 피부에 바르면 고통을 누그러뜨린다. 강력한 자극 성분으로 피부염을 초래할 수도 있다. 캡시쿰(capsicum)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prylyl glyc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prylyl glycol : 카프릴릴글라이콜, 식물에서 추출하거나 합성해 내는 피부 컨디셔닝제, 현재 글로벌 규격에 부합하는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과 클로로자일레놀 (chloroxylenol)과 함께 방부제 배합제로 주로 쓰인다. 분류:유안재성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코코넛에서 추출하는 연화제와 농후제 분류:유안재성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nola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nola oil : 캐놀라오일, 카놀라유, 항염 효과가 있는 식물 지질, 천연보습인자(NMF)를 참조.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nnabis sativa L.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nnabis sativa L. oil : 칸나비스 사티바 L. 오일, 마인 오일, 대마씨 오일, 햄프 씨 오 일 (hamp seed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ndelilla w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ndelilla wax : 칸데릴라왁스, 칸데릴라 식물에서 추출한 왁스 성분. 립스틱이나 스틱 파운데이션의 형태를 잡아주기 위한 농후제나 연화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nanga odora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nanga odorata : 카낭가 오도라타. 일랑일랑의 라틴 학명, 일랑일랑(ylang ylang)을 참조. 분류:일랑일랑)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nang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nanga extract : 카낭가 추출물, 일랑일랑과 비슷한 허브, 화장품 향으로 사용, 일랑)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mpho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mphor: 캠퍼. 동남아시아산 나무인 시나모뭄 캠포라(Cinnamomum camphora)에서 추출하는 아로마 물질로 합성한다. 피부에 바르면 시원한 느낌을 주며 혈관을 팽창시키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했을 경우 자극이나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역자극제(counter-irritant)를 참조. 분류:Counter-irri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mellia sinens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mellia sinensis: 카멜리아 시네시스, 녹차(green tea)를 참조 분류:녹차)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mellia oleifer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mellia oleifera: 카멜리아 올레이페라 녹차 성분, 녹차(green tea)를 참조. 분류:녹차)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mellia japonic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mellia japonica: 카멜리아 자포니카. 동백나무의 라틴학명. 식물의 일종으로 잎 추출물이 세균 배양접시 실험에서 인간 섬유아세포에 바른 결과 콜라겐을 고갈시키는 MMP--1의 활동을 억제하는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ophyllum inophyllum seed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ophyllum inophyllum seed oil : 칼로필리움 이노필룸 씨 오일. 호동씨 오일. 타마두 오일(tamanim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endul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endula extract : 캐런둘라 추출물, 흔히 팟 메리골드(pot marigold)라고 하는 식물에서 추출한다. 피부에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지만 항균,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있다. === 주의 === 래그위드(ragweed)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캐런둘라를 피부에 바르면 습진성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cium silic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cium silicate: 칼슘실리케이트, 규산칼슘 실리케이트(silicat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cium pantothe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cium pantothenate: 칼슘판토테네이트, 판토텐산(pantothenic acid)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판토텐산(pantothenic acid)을 참조. 분류:Pantothenic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cium pantetheine sulfo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cium pantetheine sulfonate: 칼슘판테테인설포네이트, 세포 배양접시 실험에 의하면 멜라닌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고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cium gluco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cium gluconate : 칼슘 글루코네이트, 칼슘은 신체에 필수적인 미네랄이다. 피부에 바르면 항염 효과 및 상처 치료를 돕는다는 몇 건의 연구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cium d-pantetheine-s-sulfo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cium d-pantetheine-s-sulfonate : 칼슘디 판테테인-에스설포네이트 칼슘 판테 테인설포네이트(calcium pantetheine sulfonat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cium carbo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cium carbonate: 칼슘카보네이트, 탄산칼슘, 초크, 피지 흡수제로 사용.)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cium ascorb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cium ascorbate: 칼슘아스코베이트, 칼슘 아스코르브산염, 비타민 C의 일종. 이밖)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2: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lam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lamine: 칼라민, 페릭옥사이드(ferric oxide. 산화 제2철) 색소로 염색된 탄산아연 (zinc carbonate)의 조합제이다. 탄산아연은 가려움증을 다스리는 역자극제(counter-irri-tant)이다. 역자극제(counter-irritant)를 참조, 분류:Counter-irri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2: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jeputi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jeputi oil : 카예푸티 오일, 멜라루카 카예푸티(Melaleuca cajeputi oil)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2: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ffe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ffeine : 카페인, 셀룰라이트와 크림, 로션에 첨가되는 전형적인 성분이다. 카페인은 셀룰라이트를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미노필린(aminophylline)과 먼 관계가 있다. 아미노필린은 카페인에 함유된 테오필린(theophylline)에서 변형된 물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테오필린이 셀룰라이트 제거에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과학자...)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2: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ffe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ffeic acid : 카페익애씨드, 카페인산, 항암 효과를 지닌 강력한 항산화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2: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bbage ros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bbage rose extract : 캐비지 로즈 추출물, 장미 교배종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강한 향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2: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20-40 pareth-4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20-40파레스-40. 다양한 분자 무게를 지닌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섞어 놓은 물질로 안정화제, 용해제, 계면활성제 등으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20: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18-36 acid triglyce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18-36 acid triglyceride : C18-36 트리글리세라이드산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Glyceryl est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20: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12-18 acid triglyce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12-18 acid triglyceride : C12-18트리글리세라이드산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Glyceryl est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20: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12-15 alkyl benzo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12-15 alkyl benzoate: C12-15알킬벤조에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20: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Buxus chinens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uxus chinensis: 벅수스 치넨시스, 호호바 오일 (jojoba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20: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Butyrospermum frui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utyrospermum fruit : 부티로스페르뭄 열매. 카라이트 나무의 열매로 학명은 부티로 스페르뭄 파르키이(Butyrospermum parkii)이다. 여기서 추출된 지방이 시어버터 (shea butter)를 만드는 데 이용된다. 시어버터 (shea but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20: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Butylparab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utylparaben: 부틸파라벤, 파라벤(parabe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20: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Butylene glyc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ut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