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28일 (월) 05: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ina cla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ina clay : 차이나 클레이, 카올린(kaolin)을 참조. 분류:Kaoli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icory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icory extract : 치커리 추출물,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항염 효과의 가능성도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estnut seed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estnut seed extract : 체스트넛 씨 추출물. 유로피언 체스트넛이라고도 알려진 물질 그 추출물에는 타닌의 함량이 많아 피부 수렴성분이나 건조 성분으로 쓰인다. 아직까지 피부에 발랐을 때 이로운 점이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elating age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elating agent : 킬레이트제. 금속 이온이나 금속성 물질과 결합하는 성분. 표면(피부, 머리카락, 옷에 금속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해주고 오염과 착색을 방지해준다. 킬레이트제의 예로는 테트라소듐EDTA(tetrasodium EDTA), 테트라하이드록시프로필에칠 렌디아민(tetrahydroxypropyl ethylenediamine) 등이 있다. 특히 EDAT 복합물은 효과가 좋고 대부분의 화장품 성분들과 잘 융...)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aulmoogra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aulmoogra oil : 차울무그라 오일, 대풍자유. 항균 특성이 있어 한때 전 세계적으로 한센병(나) 치료제로 쓰였다.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aste tree frui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aste tree fruit extract : 체이스트 나무 열매추출물, 폐경기 증후군을 앓는 여성들에게 체이스트 나무를 매일 복용하게 하고 위약으로 먹은 그룹과 비교한 실험이 있다. 체이스트 나무 추출물(보통 체이스트베리로 알려짐)을 복용한 여성들의 절반 이상이 위약 을 복용한 여성들보다 폐경기 증후군이 50% 혹은 그보다 훨씬 개선되었다고 했다. 하지만 피부에 효능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arcoa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arcoal : 차콜, 숯, 주로 탄소로 이루어진 태운 나무, 활성숯 USP 한 스푼이면 1만 평 방피트의 공기가 정화된다. 상처 소독도 가능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aparral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aparral extract : 채퍼렐 추출물, 떡갈나무 출출물, 항암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 중이 지만 항산화 기능을 갖는 성분을 함유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amomil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amomile : 캐모마일, 항염, 진정, 항산화 효과가 있는 허브, 마티카리아 레쿠티타(Maticaria recutita), 캐모마일 레쿠티타(Chamomilla recutita), 마트리카리아 캐모마일 분류:Chamomil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tyl PEG/PPG-10/1- dimethic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tyl PEG/PPG-10/1- dimethicone : 세틸PEG/PPG-10/1- 디메치콘, 스킨 컨디셔닝제 또는 유화제로 쓰이는 실리콘 실리콘(silicone)을 참조. 분류:Silico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tylester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tylesters : 세틸에스테르 농후제와 연화제로 쓰이는 합성 왁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tyl dimethic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tyl dimethicone : 세틸디메치콘, 스킨 컨디셔닝제로 쓰이는 실리콘 폴리머, 실리콘 (silicone)을 참조. 분류:Silico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t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tyl alcohol : 세틸알코올 지방알코올로 연화제, 유화제, 농후제로 쓰이며 여러 성분을 활성화한다. 코코넛 지방 알코올 같은 천연물질에서 추출하거나 합성할 수 있다. 피부 자극제가 아니며 SD 알코올이나 에틸알코올과 무관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tyl ace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tyl acetate : 세틸아세테이트, 세틸알코올과 아세트산의 복합 물질로 스킨 컨디셔닝제나 연화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tearyl ethylhexano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tearyl ethylhexanoate :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을 참조. 분류:Cetearyl alcohol)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tear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tearyl alcohol : 세테아릴알코올 지방 알코올로 연화제, 유화제, 농후제로 쓰이며 여러 성분을 활성화한다. 코코넛 지방 알코올 같은 천연물질에서 추출할 수도 있고 합성 할 수도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teareth-2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teareth-20: 세테아레스20. 화장품의 농도를 조절하고 각종 성분을 섞어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지방 알코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res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resin: 세레신, 클레이 추출물질 농후제로 쓰이는 왁스 질감의 물질. 일부 피부 타입을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ramid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ramides : 세라마이드, 자연 생성의 피부지질(지방)로 피부의 바깥층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 성분이다. 피부 보습과 세포 조절을 위한 필수성분이다. 보호막으로서의 피부는 50% 세라마이드와 25% 콜레스테롤, 15% 지방산으로 구성된 세포외기질을 통해 수분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분류:Cerami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4: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ramide 6-1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ramide 6-11 : 세라마이드6-IⅡ. 세라마이드(ceramide)를 참조. 분류:Cerami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ramide 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ramide 3: 세라마이드3. 세라마이드(ceramide)를 참조. 분류:Cerami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ramide 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ramide 1 : 세라마이드1. 세라마이드(ceramide)를 참조. 분류:Cerami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ra microcristallin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ra microcristallina : 세라마이크로크리스탈리나 페트롤라툼(petrolatum)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ra alb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ra alba: 세라 알바 밀랍, 농후제로 쓰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phal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phalin : 세팔린 포스포리피드(phospholipid). 지방산(fatty acid)과 천연보습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Fatty acid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유안재 성분 문서를 분류:유안재성분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 2023년 8월 28일 (월) 03: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덮어쓰기를 통해 분류:유안재성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분류:유안재 성분"에서 문서를 이동하기 위해 삭제함)
- 2023년 8월 28일 (월) 03: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유안재성분 문서를 분류:유안재 성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8월 28일 (월) 03: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ntipeda cunninghami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ntipeda cunninghami extract : 센티페다 컨닝하미 추출물, 호주산 식물 추출물. 호주 원주민들이 화상, 상처, 감염 등의 치료에 사용해온 약초이다. 항염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 식물에 대한 특허권을 소유하고 있는 회사가 실행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유안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안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유안재식물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안재가 재배하고 있는 식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유안재성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안재가 사용중인 성분 분류:유안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ntella asiatic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ntella asiatica: 센텔라아시아티카 병풀의 학명. 허브의 일종. 라벨에는 아시아틱 산(asiatic acid), 하이드로코틸(hydrocotyl), 고투콜라(gotu kola) 등으로 표기된다. 항균, 항건선, 상처 치료 효과가 있다. 분류:유안재성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ntaurea cyan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ntaurea cyanus: 센타우레아 시아누스, 수레국화, 수레국화(cornflow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llulo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llulose : 셀룰로오스, 식물 섬유질의 주된 성분, 농후제로 쓰이거나 성분 결합제 (binding agent)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ll-communicating ingredient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ll-communicating ingredients: 세포대화성분, 의학지에서는 이 물질을 세포신호 물질이라고 하지만 '세포대화성분' 이라는 용어가 이 물질의 작용을 더 잘 설명해 준다. 이론적으로 세포대화성분은 피부 세포가 건강한 정상세포처럼 잘 보고, 행동하고,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시하거나 세포가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물질들을 막는다. 또한 항산화 작용...)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lastrus paniculat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lastrus paniculatus: 셀라스트루스 파니쿨라투스, 인도산 관목, 항산화 효과가 있으나 동물 실험과 세포 밖 실험을 통해서만 증명된 효과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land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landine : 셀란다인, 애기똥풀,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고 있다는 몇몇 연구 보고가 있다. 하지만 피부에 발랐을 때 이로운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drus atlantica bark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drus atlantica bark extract : 세드러스 아틀란티카 껍질 추출물,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향 오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edarwoo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darwood : 시더우드, 향 식물 추출물, 시더우드가 알레르기와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는 증거가 있다. 또한 쥐의 피부에 종양을 발생시켰다는 연구도 소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ulerpa taxifoli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ulerpa taxifolia extract : 카를러파 택시폴리아 추출물, 조류 (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tala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talase: 카탈라아제,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효소로 상당한 항산화 기능을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stor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stor oil : 캐스터오일, 피마자오일, 캐스터 콩에서 추출하는 식물성 오일, 연화제로 쓰이지만 마르면서 튼튼한 막을 형성하는 독특한 성질이 있어 보습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자극이나 알레르기와는 연관이 없으나 피부에 약간 끈적거리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stanea sativa seed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stanea sativa seed extract : 카스타네아 사티바씨추출물, 체스트넛 씨 추출물 (chestnut seed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se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sein : 카제인, 우유 단백질 추출물로 발랐을 때 일종의 항산화 기능을 갖는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ya illinoensis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ya illinoensis oil : 카랴 일리노엔시스, 피칸 오일 (pecan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v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vone 카르본 향료로 쓰이는 에센스 오일, 피부에 심각한 민감 반응이나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thamus tinctorius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thamus tinctorius oil : 카르시무스 팅크토리우스 오일. 잇꽃씨오일, 잇꽃씨 오일 (safflower il)을 참조. 분류:Safflow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rot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rot oil : 당근 오일, 다른 비휘발성 식물 오일과 비슷한 연화성 식물 오일, 천연보습 인자(natura)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3: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arro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rot extract : 당근 추출물, 항산화 기능이 있으나 피부에 발랐을 때도 그러한 기능을 하지는 알려진 바 없다.)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