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28일 (월) 06: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cus nucifer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cus nucifera: 코쿠스누시페라. 코코넛의 학명. 코코넛 오일(coconut oil)을 참조 분류:Coconu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conut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conut oil : 코코넛 오일. 피부 연화 성질을 갖는 비휘발성 식물씨 오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conu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conut: 코코넛 기름기 제거와 세정 효과가 있다. 각종 세정제에 오일 형태로 흔히 사용된다. 계면활성제 (surfactant)를 참조. 분류:Surfac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coglycerid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coglycerides : 코코글리세라이드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에스테르 (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Glyceryl est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co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coa extract : 코코아 추출물, 막강한 항산화제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coa butt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coa butter : 코코아 버터. 코코아 콩에서 추출되는 오일로 연화제로 쓰인다. 모든 비 휘발성 식물 오일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부드러운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참조. 분류:Surfac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camidopropyl beta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camidopropyl betaine: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화장품에 사용되는 좀 더 부드러운 계면활성제이다. 계면활성제 (surfactant)를 참조. 분류:Surfac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camide DEA and M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camide DEA and MEA : 코카마이드 DEA와 MEA. 알키로아마이드(alkyloamides)와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lover leaf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lover leaf oil : 클로버 잎 오일, 클로버 블로섬 (clover blossom)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lover blosso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lover blossom : 클로버 블로섬 유제놀(eugenol)을 함유하며 피부 민감 반응이나 감광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love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love oil : 클로브 오일, 정향 오일, 반복적으로 사용했을 때 자극이나 염증을 일으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Clov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love 분류:Herbs)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love lea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love leaf : 클로브잎, 정향 잎 클로브 오일 (clove oil)을 참조. 분류:Clov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lintonia borealis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lintonia borealis extract : 클린토니아 보레알리스 추출물, 식물 추출물로 피부에 이롭다는 결과를 보여주는 연구 결과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lematis vitalb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lematis vitalba : 클레마티스 비탈바. 좀사위질빵, 곰팡이 방지 효과가 있는 식물로 피부에는 민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la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lay: 클레이, 벤토나이트(bentonite)와 카올린(kaoli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lary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lary oil : 클라리 오일. 향수에 사용되며 피부 자극이나 민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trus medica limoni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trus medica limonium: 시트러스 메디카 리모니움. 레몬(lemon)을 참조. 분류:Lemo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trus aurantium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trus aurantium extract : 시트러스 아우란티움 추출물, 비터오렌지 추출물 먹었을 때 항산화 효과가 있으나 피부에 바를 경우 메탄올(methanol) 성분이 잠재적으로 자극을 줄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trus auranti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trus aurantium: 시트러스 아우란티움 오렌지 블로섬 (orange blossom)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trus aurantifoli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trus aurantifolia: 시트러스 아우란티폴리아, 라임(lime)을 참조. 분류:Lim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trus amar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trus amara: 시트러스 아마라 오렌지 블로섬 오렌지 블로섬 (orange blossom)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trullus colocynth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trullus colocynthis : 시트룰루스 콜로신시스, 콜로신스, 비터애플(콜로신스). 피부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trull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trulline: 시트룰린, 아미노산의 일종인 알지닌(arginin)의 형성과 관련된 아미노산 인간 피부의 표층에서 발견되는 물질이다. 피부에 발랐을 때 이로운 작용을 한다는 보고는 없지만 다른 모든 아미노산과 마찬가지로 보습 효과를 가진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tr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tric acid : 시트릭애씨드, 시트릭산, 구연산, 감귤류에서 추출되는 물질로 제품들이 지나치게 알칼리 성질을 띠지 않도록 pH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stus ladaniferus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stus ladaniferus oil : 시스터스 라다니페루스 오일. 라다넘 오일(Ladanum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nnam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nnamon : 계피, 항균 효과의 가능성이 있지만 피부에 자극을 준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nnamom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nnamomum: 시나모뭄, 계피(cinnamon)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nnamomum camphor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nnamomum camphora : 시나모뭄 캠포라. 녹나무 캠퍼(campho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승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승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micifuga racemosa roo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micifuga racemosa root extract : 시미시푸가 라세모사 뿌리 추출물, 승마추출물. 블랙 코호시 (black cohosh)를 참조. 분류:승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nchona succirubra bark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nchona succirubra bark extract : 신코나 수시루브라 껍질 추출물, 기나나무 껍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ichorium intyb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ichorium intybus: 시코리움 인티부스, 치커리의 학명, 항산화 작용을 하는 식물추출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rysanthemum parthenium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rysanthemum parthenium extract : 크리샌세뭄 파세니움추출물, 피버퓨추출 물, 화란국화 추출물, 피버퓨추출물(ferverfew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rysanthemum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rysanthemum extract : 크리샌세뭄 추출물, 국화 추출물, 항염 효과의 가능성이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romium oxide gre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romium oxide green : 크로뮴옥사이드 그린 크로뮴하이드록사이드 그린 (chromi-um hydroxide gree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romium hydroxide gre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romium hydroxide green : 크로뮴하이드록사이드 그린, 색소 및 색소 첨가물로 쓰이는 광미네랄로 1977년 이래 화장품 원료로 FDA의 영구승인을 받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ondrus crisp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ondrus crispus : 콘드루스 크리스푸스 카리기난의 라틴 학명. 붉은 해초의 일종. 조류 (algae)와 카라기난(carrageenan)을 참조. 분류:Algae 분류:Carrageena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ondroitin sulf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ondroitin sulfate : 콘드로이틴설페이트,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ol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oline: 콜린, 비타민B 복합제의 일부이며 아세틸콜린(신경전달물질), 레시틴과 같은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분자의 구성 요소. 분류:Vitamine B)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6: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olester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olesterol : 콜레스테롤, 안정화제, 연화제, 보습 성분으로 쓰이는 지방, 화장품에 함유된 콜레스테롤은 피부의 정상적 기능을 유지해 준다.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olecalcifer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olecalciferol: 콜레칼시페롤, 비타민 D를 일컫는 전문용어, 비타민 D(VitamineD) 를 참조. 분류:Vitamine 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loroxylen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loroxylenol : 클로로자일레놀, 특정 박테리아와 균에 저항하는 성질 때문에 소독제나 방부제로 쓰이는 화학물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lorphenes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lorphenesin: 클로르페네신, 방부제로 쓰이는 알코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lorophe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lorophene: 클로로펜, 화장품의 방부제로 쓰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lorhexid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lorhexidine: 클로헥시딘 바르는 살균제,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lorell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lorella : 클로렐라 조류 (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loasm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loasma : 클로아즈마, 멜라즈마(melasma)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05: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Chitosa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hitosan : 키토산, 새우, 가재, 게 등과 같은 갑각류의 껍데기에서 발견되는 키틴, 폴리 사카라이드에서 추출, 약품에 널리 사용된다. 상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축적된 연구 결과가 있으며, 항박테리아 및 항염 효과도 있다고 한다. 무코폴리사카라이드)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