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29일 (화) 11: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sodium cocoamphodiace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sodium cocoamphodiacetate: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순한 세정제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참조. 분류:Surfac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PPG-3 Myristyl Ether Adip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PPG-3 Myristyl Ether Adipate: 디PPG-3 미리스틸에테르아디페이트 미리스틸 알코올(지방 알코올)과 완충제 또는 중화제로 쓰이는 아디픽산(adipic acid)의 파생물질로 스킨 컨디셔닝제와 용해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18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potassium glycyrrhizi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potassium glycyrrhizinate : 디포타슘글리시리지네이트. 진정제로 쓰이는 감초추출물, 진정제(anti-irritant)와 감초 추출물(licorice extract)을 참조. 분류:유안재성분 분류:Anti-irritant(진정제) 분류:감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1: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pentaerythrityl hexacaprylate/hexacapr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pentaerythrityl hexacaprylate/hexacaprate: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카프릴레이트/헥사카프레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이는 지방산 혼합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0: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붉은사슴뿔버섯.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3년 8월 29일 (화) 10: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파일:붉은사슴뿔버섯.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3년 8월 29일 (화) 10: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Trichothece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맹독성분 냉전시기에 yellow rain 이라는 대량살상무기를 만들던 성분 치사율 80% 끓여도 독성이 사라지지 않고 방사능 피폭과 유사한 증상을 보임 우린 물 한잔만 마셔도 치사량에 이르며, 버섯의 즙이 피부에 닿기만 해도 피부가 괴사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oscorea villos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oscorea villosa extract : 디오스코레아 빌로사 추출물, 마뿌리추출물, 마뿌리추 출물(wild yam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methylaminoethan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methylaminoethanol : 디메틸아미노에탄올 줄여서 DMAE. DMAE의 복용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으며 그 결과물도 혼란스럽다. 화학적으로 DMAE는 2-디메틸아미 노에탄올(2-dimethyl-amino-ethanol)로 알려져 있다. 30년 이상 유럽에서 '데놀 (Deanol)이라는 상품명으로 거래되었다. 영양보조제로서 은행 추출물(Ginkgo biloba)과 코엔자임Q10처럼 각성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9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methyl M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methy MEA:디메틸MEA. 디메틸아미노에탄올(dimethylaminoethanol, DMA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methyl eth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methyl ether : 디메칠에테르, 디메칠에텔, 에어로솔 제품에서 추진제로 쓰이는 무색의 가스 흡입하면 독성이 있으며 피부에 자극을 준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methyl capram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methyl capramide:디메칠카프라마이드, 안정화제와 용해제로 사용.)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methicon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methiconol:디메치코놀 실리콘(silicone)을 참조. 분류:Silico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methicone crosspolym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methicone crosspolymer :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실리콘 파생물질로 안정화제나 침강방지제 (suspending agent), 농후제로 사용 실리콘(silicone)을 참조. 분류:Silico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methicone copoly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methicone copolyol : 디메치콘코폴리올, 실리콘(silicone)을 참조. 분류:Silico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methic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methicone:디메치콘 실리콘(silicone)을 참조. 분류:Silico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isostearoyl trimethylolpropane siloxy silic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isostearoyl trimethylolpropane siloxy silicate: 디이소스테아로일트리메칠올프로판실록시실리케이트 실리콘 계열로 스킨 컨디셔닝제로 쓰임. 실리콘(silicone)을 참조. 분류:Silico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isopropyl adip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isopropyl adipate: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피막 형성제, 연화제, 스킨 컨디셔닝제로 사용.)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7: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hydroxyacet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hydroxyacetone: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피부색을 바꾸는 모든 셀프 태닝 제품에 쓰이는 성분, 아미노산과 함께 표피층에 작용해 피부색을 갈색으로 변화시킨다. 효과가 나타나려면 2~6시간 걸리며 덧발라 줌으로써 색을 더 진하게 할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ethylhexyl mal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ethylhexyl malate: 디에칠헥실말레이트, 용해제인 에틸헥사네디올(ethyl hexanedi-ol)에서 추출되며 연화제와 스킨 컨디셔닝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ethanolamine (D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ethanolamine (DEA) : 디에탄올아민, 디이에이. 용해제와 pH 조절제로 쓰이는 무색 액체. 또한 세정제와 함께 클렌저나 샴푸에 비누 거품을 일으키는 성분으로 쓰인다. 1999 년 미국 독물프로그램(NTP)은 동물 실험을 통해 이 성분이 피부에 암과 종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FDA의 공지문은 다음과 같다. "DEA 자체로 화장품에 사용되 는 경우는 적지만 DEA 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butyl phthal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butyl phthalate: 디부틸프탈레이트, 시중의 매니큐어와 합성 향수에 흔히 쓰이는 성분, 플라스틱화를 위해 사용한다. 매니큐어에 독특한 성질을 갖게 하는 중요 성분이다. 동물 실험을 통해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비영리 환경단체인 환경운동그룹(EWG· www.ewg.org)은 이 성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수태 상태의 동물이 이 성분에 노출되었을 경우 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azolidinyl ur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azolidinyl urea : 디아졸리디닐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방출 방부제, 포름알레히드 방출 방부제(formaldehyde-releasing preservativ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atomaceous eart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atomaceous earth : 디아토마세우스 어스, 규조토, 규조류(diatom)라 불리는 미세 바다 생물의 껍질로 만들어진 구멍이 많은 돌로 주로 스크럽 제품에 사용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DH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HEA: 디에이치이에이 신체에서 주로 안드로겐(남성호르몬)으로 전환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프로호르몬으로 에스트로겐은 덜 함유하고 있다. 장기간 복용했을 때 여성에게서 남성적 2차 성징을 유발시키거나 간 손상, 월경불순, 태아 기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논란이 있다. 탈모, 여드름, 체중 증가와 같은 더 표면적인 위험도 있다. DHEA가 콜라겐 생산을 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DH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HA: 디에이치에이.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xtr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xtrin : 덱스트린, 폴리사카라이드로 분류되는 탄수화물, 물과 섞어 접착제로 사용. 피부에는 수분을 잡아두는 기능을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xtra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xtran : 덱스트란 보습 효과가 있는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무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를 참조 분류:Mucopolysacchari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uterium ox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uterium oxide : 듀테륨옥사이드. 헤비위터 (heavy wa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tergent cleansing age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tergent cleansing agent : 세정 성분.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참조 분류:Surfac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oxyribonucle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oxyribonucleic acid : 디옥시리보누클레익애씨드. 디옥시리보핵산. DNA 참조 분류:DN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odorant soa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odorant soap : 데오도란트 솝. 채취를 유발하는 박테리아를 출여주는 성분을 함유한 비누. 섬세한 얼굴 피부에는 너무 거칠다. 피부에 진정한 살균 효과를 낼 만큼 오래 머물러 있지 않는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natured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natured alcohol : 디네이처드 알코올. 변성알코올. 알코올(alcohol)을 참조. 분류:Alcohol)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ionized/demineralized wat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ionized/demineralized water : 디이오나이즈드/디미네랄라이즈드워터. 탈이온수. 탈미네랄 워터. 화장품에 쓰이는 정제수. 화장품에 사용되는 모든 물은 제품의 안정성가 기능을 방해할 수 있는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정화 과정을 거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6: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hydroepiandroster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hydroepiandrosterone :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DHEA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5: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cyl glucos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cyl glucoside : 데실글루코사이드. 부드러운 세정제로 쓰인다. 계면활성제(urac-tant)를 참조 분류:Surfac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5: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ad Sea mineral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ad Sea minerals : 사해 미네랄. 사해 미네랄이 건선 피부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몇 가지 연구 결과가 있다. 건선은 피부가 급속히 갈라지고 피부 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 되는 상태를 말한다. 사해 미네랄과 소금이 건선에 작용하는지는 확실히 밝혀내지 못했다. 사해가 담고 있는 미네랄이 과도한 세포 분열을 지연시킨다는 이론이 가장 유력하다. 몇몇 연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5: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ad nettl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ad nettle extract : 데드 네틀 추출물. 세기풀 추출물. 화이트 네틀(white netl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5: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A Oleth-10 Phosph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A Oleth-10 Phosphate : DEA 올레스-10포스페이트. 유화제로 쓰이머 물과 기름처럼 비친화적인 성분을 함께 섞어 유지시키는 성질 때문에 대부분의 화장품에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5: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D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디이에이.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5: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Daucus caro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aucus carota : 다우쿠스 카로타. 딩근의 학명. 야생 당근으로도 알러저 있다. 함산화 효과가 있지만 피부에 바르면 피부엄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5: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Dandelion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andelion extract : 단델리온 추출물. 서양민들레 추출물. 강력한 알레르기 불질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05: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Daisy flower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aisy flower extract : 데이지꽃 추출물, 피부에 이롭다는 연구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12: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D&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C: 디앤시. FDA에 따르면 D&C는 의약품과 화장품에 안전하게 쓰이는 색소를 의미 한다. 하지만 음식에는 안전하지 않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12: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ytokin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ytokines : 사이토킨. 면역체계의 세포가 분비하는 지극히 복잡하고 다양하며 강력한 화학 전달물질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다른 물질의 생산을 자극한다. 사이토킨은 세포 성장을 돕고, 세포 활동을 촉진하며, 세포의 이동 경로를 지시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를 포 함한 특정 세포를 파괴한다. 인터루킨(interleukin)과 인터페론(interferon)은 사이토킨의 일종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12: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Cytochrom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ytochrome : 시토크롬. 혈액 세포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세포 내의 에너지를 전달하 는 필수 기능을 담당한다. 시토크롬은 A, B, C 세 타입으로 나뉘는데 시토크롬 C가 가장 안정적이다. 그러나 시토크롬이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른 성분들의 연쇄적인 작용에 의한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므로 단독으로는 피부에 기능을 하지 않는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12: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ystos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ystosine : 시스토신, 세포에 유전 정보를 전달하는 DNA의 구성 성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12: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Cyst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ystine: 시스틴,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분류:Amino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12:2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yste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ysteine: 시스테인,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분류:Amino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8일 (월) 12:27 Yuanje 토론 기여님이 Cynara scolym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ynara scolymus: 시나라 스콜리무스 아티초크 추출물(artichoke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