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30일 (수) 06: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osphingolip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osphingolipid :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글리콜로피드(glycolipid)와 천연보습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osaminoglycan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osaminoglycans :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무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로도 알려져 있다. 피부 조직의 기본 구성 요소와 복합 단백질 그룹에 필수적인 것들이 있다. 콘드로이친황산(chondroitin sulfate)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그룹의 일부이다. 분류:Mucopolysacchari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oprotein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oproteins : 글라이코프로테인, 단백질이 탄수화물과 연결될 때 생성되는 세포대화 성분, 다양한 시스템들이 내·외부의 스트레스로부터 회복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세포재생과도 기본적인 연관이 있다. 그러나 피부에 발랐을 때 주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과학적 연구 결과는 없다. 한편 이 성분이 당류와 결합하면 세포 간질 구성 물질을 형성...)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olip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olipid : 글라이코리피드, 모노사카라이드(단당류)와 지방(지질)으로 이루어진 지질의 일종으로 세포벽과 세라마이드의 주성분이다. 글리콜리피드는 세포벽을 코팅하고 피부에 수분을 잡아 두는 벽을 형성한다. 세라마이드(ceramides), 리퀴드(lipid), 무코폴리 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를 참조. 분류:Ceramide 분류:Mucopolysaccharide 분류:Lip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ol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olic acid : 글리콜산. AHA 참조. 분류:AH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ol stear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ol stearate : 글라이콜스테아레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Emolient 분류:Thickner 분류:Glyceryl est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og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ogen : 글리코겐, 폴리사카라이드(다당류)의 일종으로 피부에 수분을 잡아두는 기능이 있다.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ine soja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ine soja oil : 글리신 소야 오일, 야생 콩에서 추출하는 오일, 연화 효과가 있다.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Emolient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ine: 글리신,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분류:Amino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stear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stearate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palmi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palmitate: 글리세릴팔미테이트, \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 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ole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oleate: 글리세릴올레에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 (glyceryl es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myris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myristate : 글리세릴미리스테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isostear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isostearate: 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isopalmi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isopalmitate: 글리세릴이소팔미테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Emolient 분류:Thickn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est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ester : 글리세릴에스테르, 지방과 오일로 이루어진 방대한 그룹을 일컫는 말 이다. 실온에서 지방은 고체이고 오일은 액체이다. 일부 열대 오일은 채취 당시에는 액체이나 식혀 주거나 상이한 응용을 하면 고체가 된다. 이러한 다채로운 지방은 연화제와 윤활제로 쓰이며 보습제와 농후제로도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distear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distearate :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dipalmi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dipalmitate : 글리세릴디팔미테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yl coco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yl cocoate : 글릴세릴코코에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에스테르 (glyceryl este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erin : 글리세린, 글리세롤(glycerol)이라고도 한다. 동물이든 야채든 모든 자연지질 (지방)에 포함되어 있다. 지방의 가수분해와 당분의 발효로 발생하며 합성할 수 있다. 한 때 모이스처라이저에 너무 많은 글리세린을 사용하면 피부에 수분을 잡아두기보다는 빼 앗는다고 생각했지만 그 이론은 설득력을 잃었다. 현재는 글리세린이 세포 간질로 알려진 부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eret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glycereth-17 cocoate : 글리세레스-17 코코에이트 ==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 릴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 glycereth-26 : 글리세레스-26 ==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 glycereth-26 phosphate 글리세레스-26포스페이트, ==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 glycereth-6 laurate : 글리세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utathi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utathione: 글루타치온, 강력 항산화제, 항산화제(antioxidant)를 참조. 분류:Antioxid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utam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utamine: 글루타민, 피부 보호막의 기능을 개선시킨다.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분류:Amino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utam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utamic acid : 글루타믹애씨드, 글루탐산, 밀전분에서 추출하는 아미노산, 피부에 수분을 유지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글루탐산을 화장품의 형태로 발랐을 때 특별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다.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분류:Amino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ucose tyrosi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ucose tyrosinate : 글로코오스타이로시네이트, 타이로신(tyrosin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uco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ucose: 글루코오스, 포도당, 보습 효과를 가지는 모노사카라이드(monosaccharide 단당류). 무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와 보습제(water-binding agent)를 참조. 분류:Mucopolysacchari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uconolact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uconolactone : 글루코노락톤 폴리하이드록시산(polyhydroxy acid)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abrid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abridin : 글라브리딘, 감초 추출물의 주성분, 항염 기능이 있으며 색소 침착을 경감시 키는 데 효과적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A: 지엘에이, 감마리놀레익애씨드, 감마리놀렌산, 감마리놀렌산(gamma linoleni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Ginse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inseng: 진셍, 인삼, 아시아 원산의 식물, 동물을 대상으로 한 몇몇 실험에서 종양제와 항암 기능을 하지만 피부에 발랐을 때 이롭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Ginkgo bilob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Ginkgo biloba : 징코빌로바 == 은행나무 잎은 항염 효과가 있고 콜라겐 생성을 도우며 항산화 기능이 있다. == Ginkgo biloba leaf extract : 징코빌로바 잎 추출물, 은행잎추출물 == 강력한 항산화제 이며 혈액 순환을 돕는다는 연구가 있다. 하지만 셀룰라이트에 변화를 주는 효과는 증명 된 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Ging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ginger extract : 진저 추출물, 생강추출물 == 복용 시 항염 및 항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생강과 식물에서 추출한다. 그러나 피부에 자극을 일으킨다. == ginger oil : 진저 오일, 생강 오일. == 생강추출물(ginger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Germaben I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ermaben II : 게르마벤Ⅱ. 디아졸리디닐우레아(diazolidinyl urea)의 상품명 디아졸리 디닐우레아(diazolidinyl urea)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Gerani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geranium extract : 제라늄 추출물 == 강력한 항산화 기능이 있다. == geranium oil : 제라늄오일 == 항균 기능을 갖는 향 오일이나 피부 자극이나 민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Geranium pretense 제라늄 프리텐스 == 제라늄 추출물(geranium extract)과 제라늄오일(geranium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Gentian viole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entian violet extract : 겐티안바이올렛 추출물, 용담속 식물로 진정과 항균 성질을 갖고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Gentiana lutea (Gentian) roo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entiana lutea (Gentian) root extract : 겐티아나 루테아 (겐티안) 뿌리추출물, 용담 추출물, 뿌리는 겐티안의 활성 부위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지닌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Gellidiela aceros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ellidiela acerosa extract : 겔리디엘라 아세로사 추출물, 조류(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Gela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elatin: 젤라틴, 식물과 동물에서 추출되는 단백질로 농후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Gardenia florid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ardenia florida extract : 가르데니아 플로리다 추출물, 치자추출물, 화장품에 향을 내기 위해 쓰이는 식물 추출물, 항산화제 작용도 한다. 피부에 이로운 효과는 증명되지 않 았으며 향 성분이 자극을 주어 항산화 효과가 사라진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5: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Ganoderma lucidum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anoderma lucidum extract : 가노데르마 루시둠 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 동물 실험과 세포 배양접시 실험을 통해 이 추출물을 복용했을 경우 종양억제, 면역체계 조절, 콜레스테롤 저하, 항바이러스, 항균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그러나 피부에 발랐을 때도 같은 효과를 갖는다는 결과는 없다. 항산화 기능이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Gamma linolen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amma linolenicacid : 감마리놀레익애씨드, 감마리놀렌산, GLA로도 알려져 있다. 화장품에 연화제, 항산화제, 세포 조절제로 쓰이는 지방산이다. GLA는 건강한 피부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항염제로 쓰인다고 알려져 있다. GLA는 블랙 커런트(black currant) 오일 이나 씨, 달맞이꽃 오일, 보리지(borage) 오일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GLA가 주름 치료에)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Galban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albanum, 갈바늄, 향료, 수지와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처가 난 피부에 심한 자극과 민감 반응을 일으킨다. 피부에 이롭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Galactoarabina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alactoarabinan : 갈락토아라비난. 북미산 자작나무에서 추출되는 폴리사카라이드 (polysaccharide · 다당류). 무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를 참조. 분류:Mucopolysacchari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GAB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ABA : 지에이비에이 (gamma aminobutyric acid/gamma amino-butyric acid), 감마아미노낙산, 뇌에서 합성되는 아미노산으로 신경전달물질의 반응 억제제로 작용한다. 발작과 우울증을 경감시키는 물질과 관련 있다. 화장품 회사들은 GABA가 함유된 화장품이 근육을 이완시켜 보톡스와 같이 주름 완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GABA는 근육을 이완시킨다고 증명된 바 없...)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Fumar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umaric acid : 푸마르산, 심각한 건선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천연 산 심각한 피부 자 극을 일으킬 수 있다. 소량으로 화장품의 pH 조절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Earth smok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Fumaria officinalis extract:푸마리아 오피시날리스추출물 == 어스스모크(Earth smoke)의 추출물, 항균 기능을 가진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Fuller's eart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uller's earth : 풀러스 어스, 백토 혹은 표토, 카올린(점토)과 비슷한 광물질,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철, 라임, 마그네시아, 물로 이루어져 있다. 화장품의 피지 흡수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분류:Thickn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Bladderwrac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Fucus vesiculosus extract : 푸크스 베시쿨로수스 추출물, 블래더랙앨지추출물 == 블랙더랙 추출물(bladderwrack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복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Fuling: 푸링, 복령 ==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Fruit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ruit acid : 프루트애씨드, 과산, 사탕수수추출물(sugarcane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