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9월 1일 (금) 13: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Irish moss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rish moss extract : 아이리시 모스 추출물, 붉은 말의 일종. 조류(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Iris florentin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ris florentina extract : 아이리스 플로렌티나 추출물, 오리스 뿌리 (orris roo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2 Yuanje 토론 기여님이 Iodopropynyl butylcarbam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odopropynyl butylcarbamate : 아이오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화장품 방부제로 쓰인다. 방부제(preservatives)를 참조. 분류:Preservatives)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Inula heleni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nula helenium: 이눌라헬레니움 엘레캄파인(elecampane)을 참조. 분류:Elecampa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Interleukins(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nterleukins(IL): 인터루킨. 백혈구의 성장을 촉진, 인간성장인자(human growth fac-tor)를 참조. 분류:Human growth factor(HG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Intercellular matri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ntercellular matrix : 인터셀룰러 매트릭스, 세포 간질, 피부 세포층을 잡아두는 모르타르(회반죽) 같은 역할을 하며 탄탄한 천연막을 형성한다. 세포 간 층을 손상 없이 보존 해 박테리아를 쫓아내고 수분을 안으로 끌어당겨 피부 표면을 부드럽게 한다. 세포 간질 의 예로는 세라마이드, 히알루론산, 비타민 C, 글리세린,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이 있다. 천연보습인...)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Insulinlike growth facto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nsulinlike growth factor : IGF. 인슐린 유사성장인자. 지방세포와 연결 조직세포를 촉진 인간성장인자(human growth facto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Inosit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nositol : 이노시톨, 레시틴의 주요 성분이며 보습 효과가 있다. 비타민이 아니지만 비타민B로 종종 오해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1: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우수화장품제조시설(CGM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주요인증현황 == ISO22716인증 획득 CGMP 적합업소 인증 획득 == 제품생산량 == {| class="wikitable" |+ !장비명 !충전기준 !생산량(ea/day) ! |- |멀티셀충전기 |180ml |9,000 | |- |튜브충전기 | | | |- |수동단발충전기 | | | |- |마스크팩충전기 |15-20g | | |- |수동진공레벨충전기 | | | |- | | | | |} == 주요설비 및 생산시설 == 구분 주요설비 QC장비 제조장비 CGMP 남원시우수화장품제조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1: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천연물 화장품 원료 생산시설(IGM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주요시스템 == === 전처리시스템 === 와류세척기 다이서 마이크로파 건조기 === 추출농축시스템 === 추출기 다목적추출기 저장탱크 N.C. 농축기 교반농축기 조제탱크 쿨링타워 칠러 이동식저장탱크 중량식주입기 === 발효시스템 === Lad fermenter Seed fermenter Main fermenter === 착유시스템 === 착유기 === 분리정제시스템 === 필터프레스 연속원심분리기 다목적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0: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화장품산업 중심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유안재 화장품산업 중심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철자가 잘못된 제목)
- 2023년 9월 1일 (금) 10: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아까시나무꽃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아까시나무꽃(Robinia pseudoacacia L.) == 아까시나무의 뿌리는 그물처럼 땅 위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흙을 잡아주고 땅을 단단하게 해줍니다. 메마르고 척박한 땅에 아까시나무가 터전을 잡으면 다른 식물들도 잘 자랄 수 있습니다. 남원 아까시나무꽃은 5월 중순 맑은날, 언덕 곳곳에 하얗게 핀 꽃을 조심스레 채취합니다. == INCI name == Robinia Pseudoacacia Flower Extract 아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0: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왕벚나무꽃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왕벚나무꽃(Prunus yedoensis Matsum.) == 가로수로 흔히 만날 수 있는 왕벚나무는 국제자연보전연맹에서 지정한 멸종위기종입니다. 관상용으로 널리 이용되지만 실제 자생지 개체수가 매우 적어 증식 및 보전이 시급한 국제단위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매년 봄 왕벚나무는 남원 곳곳에서 만개하지만 그중 대강면에 왕벚나무꽃은 일 년 중 단 이틀만 수확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0: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왕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왕대(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 남원 주천면 왕대는 5~6월 땅속에서 흑갈색 반점의 큰 죽순으로 올라오며 20~40일이 지난 7~8월경 왕대는 위로 곧게 뻗어 사시사철 푸른 하늘 가득 숲을 이룹니다. 이때 수확한 크고 긴 푸른 잎은 저온에 건조하여 푸른빛을 머금게 합니다. == INCI name == Phyllostachys Bambusoides Leaf Extract. 왕대잎추출물 == 사용법 == 왕대잎은 죽엽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0: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산구절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산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elev) == 꽃이 활짝 피기까지 2주 이상 꽃봉오리로 천천히 생장하는 남원 산구절초는 꽃이 한창인 9월 말에서 10월 중순까지 수확합니다. 산그늘에서 갓 피어난 꽃잎은 연분홍빛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점차 하얀 빛으로 바뀌어 더 우아한 자태를 드러냅니다. 산구절초 꽃과 잎은 각기 다른 가을 향기가 납니다. == INCI name == Chrysanthemu...)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0:26 Yuanje 토론 기여님이 복사나무꽃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복사나무꽃(Prunus persica (L.) Batsch) == 4월 초 남원 송동 복사나무에는 가지마다 분홍꽃망울이 맺힙니ㄷ 초록 구릉지에 펼쳐진 복숭아 과수원은 4월 중순 일시에 굽이굽 분홍물결이 입니다. 연분홍 꽃에 벌과 나비가 스쳐 지나면 꽃은 사랑스런 짙은 분홍빛 물듭니다. 새 잎이 돋아나는 화창한 봄 송이송이 수확한 복사꽃은 건조하여도 여전히 아름다운 분홍빛을 고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0: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국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 11월 초순까지 국화가 만개합니다. 2cm 정도의 작은 꽃을 피우는 소국(小菊)인 운봉 국화는 햇살 좋은 늦가을에 수확합니다. 운봉 국화 꽃송이는 작지만 꽃잎이 치밀하게 모여 있어 여러 번 건조시켜야만 노란빛을 오래도록 간직할 수 있습니다. == INCI name ==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Extract 국화추출물 == 사용법 == 국화꽃은 그늘에...)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0: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소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Thunb.) Kudo) == 남원 소엽(자소엽)은 4~5월 경 초록빛에 자주빛이 돌다가 6월 경에는 새로나는 잎에만 초록이 보입니다. 4~5월에 돋아난 잎들은 앞면과 뒷면 모두 자주빛으로 바뀌고 8월 수확기에는 모든 잎들이 온통 자줏빛으로 물듭니다. == INCI name == Perilla Frutescens Leaf Extract. 소엽추출물 == 사용법 == 물의 온도와 산도에 따라 보라색,...)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0:09 Yuanje 토론 기여님이 연꽃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연꽃(Nelumbo nucifera Gaertn.) == 화장품원료 제품명 남원연꽃추출물 2 INCI name 남원연잎추출물 남원 연꽃은 주로 꽃차로 마시는 백련을 재배합니다. 6월 초록빛 꽃망울이 달린 꽃자루가 잎자루 보다 높게 자라 시작하며 7~8월 경 맑고 향기로운 백색의 연꽃 봉오리-꽃들이 초록 연잎 물결 위로 보입니다. 탈모 1 발모 탈모 /발 모 NelumboNucifera Flower Extract NelumboNu...)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0: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찔레꽃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찔레꽃(Rosa multiflora Thunb.) == 주로 산 아래에서 자라는 남원 찔레꽃은 평지의 찔레꽃보다 일주일 정보 늦은 5월 중순 경 만개합니다. 햇살을 좋아하는 찔레꽃은 하트모양의 꽃잎 하나하나도 끝을 말아 올린듯 하늘을 향하고 있습니다. 남원 찔레꽃은 꽃이 한창 핀 맑은 날 채취합니다. == 화장품원료 제품명 == 상품명: 유기농 남원지리산 찔레꽃추출물 inci name: Ro...)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9: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남원 · 지리산권 자원식물 화장품원료 목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 !품목명 !화장품원료 제품명 !제조사 !비고 |- |캐모마일꽃 |유기농 캐모마일꽃 추출물 | rowspan="2" |루바마네이쳐 | |- |찔레꽃 |유기농 남원지리산 찔레꽃추출물 | |- |연꽃 |남원연꽃추출물 | rowspan="4" |더가든오브 내추럴솔루션 | |- |연잎 |남원연잎추출물 | |- |소엽 |남원자소엽추출물 | |- |국화 |남원국화추출물 | |- |복사나무꽃 |남원복사나무꽃추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9: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화장품산업 중심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천연화장품 산업 == === 재배 === * 6차산업 연계 * 재배품목확대 * 재배기술향상 === 문화 === * 지역 스토리 보존 * 지역스토리 발굴 * 지역 스토리 창조 === 자연 === * 지속가능성 확보 * 환경보호 * 윤리적 가치소비 확대 === 제조 === * 기술향상 * 응용제품 확대 * 허브가공확대 === 관광 === * 서비스 다양화 * 관광명소 확대 * 지역 스토리 확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9:18 Yuanje 토론 기여님이 Jojoba oil cleans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ingredients == extra virgin olive oil jojoba oil brown sugar apple wash(surfactant) 분류:Oil to foam cleans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9: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Oli to foam cleans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il to foam cleans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7: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nactive ingredient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Inactive ingredient". 유일한 편집자는 "Yuanje" (토론))
- 2023년 9월 1일 (금) 07:15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nactive ingredient 문서를 Inactive ingredient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철자가 잘못된 제목)
- 2023년 9월 1일 (금) 07: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nactive ingredie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nactive ingredient : 비활성성분 함유량이 많은 성분을 시작으로 순서대로 사용하는 것 외에는 FDA의 별다른 규제를 받지 않는다. 수천 가지 비활성 성분이 화장품에 쓰이고 있다. 진짜 비활성 물질인지와 피부나 인체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는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7: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midazolidinyl ur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midazolidinyl urea :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방출 방부제 (fromalde-hyde-releasing preservativ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7:12 Yuanje 토론 기여님이 Illicium vern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llicium vernum: 일리시움베르눔 아니스(anise)를 참조. 분류:Anis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7: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Ilex paraguariens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lex paraguariensis : 일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 마테의 라틴 학명. 예르바 마테 추출물(yerba mate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7: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sso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ssop: 히솝. 약간의 항균 효과가 있는 향 식물 추출물이며 피부에 자극적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7: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poallergeni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poallergenic: 하이포알러제닉. 저자극성 제품이 알레르기나 민감성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믿음을 소비자들에게 주기 위해 화장품 업계에서 사용하는 용어. 그러나 이 용어는 FDA의 어떠한 규제도 받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 회사들이 명확한 증거 없이 무차별적으로 쓰고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7:09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pericum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pericum extract : 하이페리쿰추출물,서양고추나무 추출물, 세인트존스워트(St. John's wort)를 참조. 분류:St. John's wor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xypropyl gua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xypropyl guar :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 구아검 (guar gum)을 참조. 분류:Guar gum)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xyprol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xyproline: 하이드록시프롤린, 아미노산 프롤린에서 추출한다. 콜라겐과 다른 구조 단백질의 기본 구성 요소이다. 피부의 자연 치유 효과는 부분적으로 이 물질이 있느냐 에 따라 달라진다. 외용으로 상처 치유를 돕는지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 그러나 콜라겐과 마찬가지로 보습 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xylated lecith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xylated lecithin : 하이드록실레이티드레시틴, 레시틴(lecithin)을 참조. 분류:Lechithi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xyethylcellulo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xyethylcellulose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유화제나 고정제로 쓰이는 식물 추출농후제 헤어스타일링 제품에서 피막 형성제로 쓰인다. 분류:Film-forming age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quin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hydroquinone: 하이드로퀴논 == 멜라즈마를 완화하고 없애는 가장 효과적인 미백 성분 이다. 멜라닌 생성을 억제해 주근깨, 기미 등 얼굴의 갈색 잡티를 성공적으로 줄여주는 것 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하지만 하이드로퀴논은 피부를 표하지 않으므로 '표백 성분' 이 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0.5~2%의 하이드로퀴논 농도는 시중에서 판매되며 4% 이 상의 제품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 하이드롤라이즈드 식물성 단백질, 야채에서 추출되 는 다양한 단백질로 구성된다. 물로 분해되어 원래와 다른 제2의 성질을 갖게 된다. 보습 성분으로 쓰인다. 분류:Water-binding age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lyzed sil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lyzed silk : 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 실크(silk)를 참조. 분류:Silk)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lyzed jojoba ester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lyzed jojoba esters : 하이드롤라이즈드 호호바에스테르, 호호바에서 추출하는 필수지방산으로 물로 분해되어 제2의 성질을 지닌 새로운 복합체를 형성한다. 사람이 음식을 소화시켜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과정과 같다. 호호바 에스테르는 스킨 컨디셔닝제의 기능을 한다. 분류:Skin conditioning 분류:Jojob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lyzed ac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lyzed actin : 하이드롤라이즈드액틴, 보습 효과가 있는 단백질의 한 유형. 보습제 (water-binding agent)를 참조. 분류:Water-binding age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genated polyisobute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genated polyiso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연화제와 스킨 컨디셔닝제로 쓰이는 합성 폴리머.)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genated polydece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genated polydecene :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연화제와 스킨 컨디셔닝제로 쓰이는 합성 폴리머,)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genated palm glyce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genated palm glyceride : 하이드로제네이티드팜글리세라이드,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Glyceryl est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genated lecith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genated lecithin :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레시틴(lecithin)을 참조. 분류:Lechithi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genated didece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genated didecene : 하이드로제네이티드디데센, 디데센에서 추출하는 스킨 컨디셔닝제로 탄화수소이다. 탄화수소는 탄소와 수소만을 함유하고 있는 유기 성분이다. 통상적인 탄화수소의 예는 미네랄 오일, 석유, 파라핀 왁스 등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genated coco-glycerid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genated coco-glycerides: 하이드로제네이티드코코-글리세라이드,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Glyceryl est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genated castor oil hydroxystear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genated castor oil hydroxystearate :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하이 드록시스테아레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를 참조. 분류:Glyceryl este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gen perox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gen peroxide: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 하이드로겐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살균 소독제로 효과적이지만, 최근 들어 건강한 신생세포의 생산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과산화수소는 심각한 산화제이며, 이는 유리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피부의 치유 과정을 손상시키고 세포 구조 파괴, 세포의 최적 기능을 손상시키는...)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