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9월 2일 (토) 05: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thium magnesium sodium silic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thium magnesium sodium silicate : 리툼까그네습소들실리케이트. 리튜, 소듭, 마 그네슘으로 구성된 실리카 바탕의 합성 점토. 농후제와 피지 흡수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posom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posomes .. 리포솜. 다른 성분음 잡아두고 리포송이 피부로 홈수시킨 뒤 방출하도록 하는(성분이 아닌) 전달 시스템. 리포솜은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지질(지방) 낭으로 피부 에 다른 성분을 운반하는 통로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p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pid : 리피드. 지질. 동식물과 사람의 피부에서 발견되는 광범위한 그룹. 지질은 지방산. 피지, 지방을 포함한다. 화장품에서는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지방산(faty acid)과 친 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12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num usitatissimum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num usitatissimum extract : 리눔 우시타시움 추출물. 린시드 오일(hinseed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nseed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nseed oil : 린시드 오일. 아마인 오일. 리놀레산이 바로 린시드 오일 복합물이다. 리놀 레산(inoleic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8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nole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noleic acid : 리놀레익애씨드. 리놀레산. 화장품의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이는 불포화 지방산. 항산화, 항염 기능과 함께 세포 조절과 피부 보호막 재생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있다. 지방산(fatty acid),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nden flower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nden flower extract : 린텐 꽃 추출물. 린덴의 주요 활성 성분은 플라보노이드와 글 리코사이드이다. 플라보노이드는 막강한 항산화제이고 글리코사이드는 모노사카라이드 (단당류)로 보습 기능이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7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nalo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nalool : 리나룰. 라벤더 향 성분의 하나로 피부 자극, 알레르기, 민감 반응을 일으킨다. 라벤더의 이 성분이 피부 세포에 중독 반응을 일으켜 세포를 죽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겨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mone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monene : 리모넨. 함이 나는 천연 성분에 함유된 화학물길. 특히 시트러스 오일(d리 모넨)과 소나무 또는 민트과 식물(-리모넨)에 많이 함유되었다. 초기 연구에 의하면 리모넨 을 복용하면 항암 효과와 함께 민역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고 하지만 반대로 리모넨이 종양 의 성장을 촉진시킨다는 언구 걸과도 있다. 피부에 바르는 경우 리모넨은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mnanthes alb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mnanthes alba : 림난세스 알바, 메도우품(meadowfonm) 씨 오일로 알려져 있다. 스킨 컨디셔닝제로 쓰이는 비휘발성 식물 오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me (oil or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me (oil or extract) ; 라입 오일 혹은 라임 추출물, 피부 자극과 감광싱 반용을 조래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lium candidum bulb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lium candidum bulb extract ; 릴리움 캔디둠 줄기 추출물. 마돈나백합비늘줄기추 출물. 피부에 이롭다는 연구 걸과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corice roo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corice root : 리코리스 뿌리. 감초. 감초 추출물(licorice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Licoric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corice extract : 리코리스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항엄 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visticum oficinale roo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visticum oficinale root extract : 레비스티쿰 오피시날 뿌리 추출물. 로베지 뿌리 추출물(lovage root extract )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uc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ucine : 류신. 아미노산. 아미노산(amino acid),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 )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ttuc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ttuce extract : 레터스 추출물. 상추 추출물. 약한 항산화와 항염 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ptospermum scoparium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ptospermum scoparium oil : 렙토스페르붐 스코파리움 오일. 마누카가지 오일. 마 누카 오일(manuka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ntinus edodes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ntinus edodes extract : 렌티누스 에도데스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로 항미생물 과 형균 효파가 있!다. 피부 자국음 일으퀸 수주 있다. 부용하민 중양음 역세함 수 있다는 원 구결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mongrass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mongrass oil : 레몬그라스 오일. 베르베나 오일(Oil of Verbena)이라고도 알려져 있 다. 모기를 쫓는 데 유용하다. 휘발성 향 오일로 자극을 줄 수 있는 성분(리모닌과 시트랄 포함)을 함유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mongrass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mongrass extract : 레몬그라스 추출물. 항균 성질을 가질 수 있으나 피부 자극도 일 으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mon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mon oil : 레몬 오일.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박피 피부에 자극을 준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mon bal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mon balm : 레몬 밤. 밤 민트 추출물(balm mint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m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mon : 레몬. 잠재적으로 피부를 민감하게 하고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항균 성질이 있 을수 있으나, 자극이 피부의 면역 반응을 손상시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Lecith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cithin : 레시틴. 계란 노른자와 동식물의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인지질. 화장품에 연화 제와 보습 성분으로 널리 쓰인다.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L-cyste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cysteine : L-시스테인.항산화제(antioxida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L-carnit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carnitine : L-카르니틴. 아미노산이라고 잘못 기재될 수 있는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복용하면 신진대사가 개선된다는 주장이 있다. 동물 실험에서 복용 시 노화 방지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러나 피부에 발랐을 때 이로운 점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함산화 성질이 있을 수 있다. 항산화제(antioxida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vender extract and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vender extract and oil : 라벤더 추출물과 오일. 항료로 쓰이지만 항균 성질이 있다. 피부에 이롭다는 연구 결과는 없고 오히려 피부에 자극을 준다. 감광각 반응을 일으길 수 있다. 현재의 연구들은 라벤더의 구성 성분, 특히 리나률(linalool)이 세포 중독 현상을 일 으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피부 세포를 죽일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vandula officinal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vandula officinalis : 라반둘라 오피시날리스. 라벤더 추출물과 오일(lavender extract and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vandula angustifoli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vandula angustifolia : 라반둘라 앤거스티폴리아. 라벤더 추출물과 오일(lavender extract and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vandin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vandin oil : 라반딘 오일. 교배종 라벤더인 라반딘의 에센스 오일로 화장품 향료로 쓰 인다. 잠재적 자극의 가능성은 라벤더 오일과 캠퍼와 비슷하다. 라반딘은 라벤더보다 4배 의 오일을 생산하지만, 구별할 수 있는 캠퍼 향이 나고 품질이 떨어진다. 향수에 쓰이지는 않지만 향비누, 공기 청정제 등과 같은 제품에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uroyl lac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uroyl lactate : 라우로일락테이트. 라우릴아코올과 락트산의 혼합으로 피부 컨디셔 닝제와 연화제로 작용한다. 향을 내기도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uryl glucos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uryl glucoside : 라우릴글루코사이드. 계면활성제 (surfactant )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ur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uryl alcohol : 라우릴알코올.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4: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urus nobil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urus nobilis : 라우루스 노빌리스. 월계수 잎 오일(bay leaf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uroyl lys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uroyl lysine : 라우로일라이신. 아미노산 파생물로 피부 컨디셔닝제, 혹은 혜어 컨디 셔닝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ureth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ureths : 라우레스. 수많은 종류의 순한 클렌저에 함유된 성분. 계면활성제라고 불린 다.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ureth-4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ureth-4 : 라우레스-4, 라우릴 알코올에서 추출하며 게면할성제나 유화제(혹은 다)로 쓰인다.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ureth-2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ureth-23 : 라우레스-23. 리우릴 알코올에서 추출하머 게면할성제나 유화제(흑은 둘 다)로 쓰인다. 게면활성제(surfacta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uramphocarboxyglyci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uramphocarboxyglycinate : 라우람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 순한 세정제. 계면활성 제(surfactant)를 차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scorb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scorbic acid : L-아스코빅애씨드. L-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의 일반적인 형태. 강력 한 항산화 및 항염제로 여겨지지만, 주름 제거나 예방 효과는 증명되지 않았다. 낮은 PH 에서만 안정적이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rrea tridenta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rrea tridentata : 라레아 트리덴타타. 채퍼렐 추출물(chaparal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rrea divaricat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rrea divaricata extract : 라레아 디바리카타 추출물. 채퍼렐 추출물. chaparral extract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pp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ppa extract : 라파추출물. 우엉 추출물. 버독 뿌리(burdock roo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nolin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nolin alcohol : 라놀린 알코올. 라놀린에서 추출하는 연화제. 라놀린(lanoli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3: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nol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nolin : 라놀린. 양의 피지선에서 추출. 라놀린은 오랫동안 알레르기나 민감 반응을 일으킨다는 평판이 있었다. 영국 피부학저널 2001년 논문에 따라 라놀린에 대한 고정관념 을 바꿔야 한다. 이 논문은 라놀린의 민감성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위험도가 높은 사람들 (예를 들면 습진 환자 및 습진이 자주 재발하는 피부)에게도 일정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다양한 형...)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minaria sacchar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minaria saccharine : 라미나리아 사카린. 슈거 켈프 추출물. 조류(alga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minaria longicrur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minaria longicruris : 라미나리아 론기크루리스. 켈프 추출물. 조류(alga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minaria japonic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minaria japonica : 라미나리아 자포니카. 곤포 추출물. 조류(alga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minaria digita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minaria digitata : 라미나리아 지지타타. 호스테일 켈프. 조류(alga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