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9월 2일 (토) 05: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Myristat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yristates : 미리스테이트. 지방산의 일종으로 농후제와 연화제로 쓰인다. 다른 연화제 와 마찬가지로 쓰는 앙에 따라 잠재적으로 모공을 막을 수 있다. 지방산(fatty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Mulberry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ulberry extract : 멀베리 추출물. 알부틴을 함유하고 있어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관런된 연구는 매우 적으며 그나마도 세포 밖 배양겁시 실험 이 전부이다. 알부틴(arbuti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Mugwor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ugwort extract : 머그위트 추출물. 쑥 추출물. 피부에 효능이 있다는 연구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Mucor miehei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ucor miehei extract : 무코르 미에헤이 추출물. 곰팡이 추출물의 일종으로 이 곰팡이 의 효소는 식품 첨가제와 치즈 향신료로 사용된다. 피부에 이로움은 없지만 화장품 회사 들은 마치 이 물질의 효소 작용이 각질 제거 효과를 줄 짓처립 광고한다. 하지만 이를 증 명람 만한 근거 지료는 집허 워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Mucopolysaccha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ucopolysaccharide : 무코폴리사카라이드(다당류).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ly- cosaminoglycan)이라고도 한다. 피부 조직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히알루론산을 포함 한 광범위한 성분이다. 단백질과 함께 수분과 다른 세포 요소를 잡아두어 피부 세포가 손 상되지 않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천언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Morus nigra roo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orus nigra root extract : 모루스 니그라 뿌리 추출물. 블랙 떨베리 black mulbery) 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Morus bombycis roo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orus bombycis root extract : 모루스 봄비시스 뿌리 추출물. 멀베리 추출물(mut- berry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Montmorilloni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ontmorillonite .. 몬모립로나이트. 벤토나이트(bentonit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xed fruit extract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xed fruit extracts : 과일 혼합 추출물. 사탕수수 추출물(sugarcane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tracarpe scaber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tracarpe scaber extract : 미트라카르페 스카베르 추출물. 서아프리카 원산의 식물 추출물. 항균 성질이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neral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neral oil : 미네랄 오일. 석유에서 추출되는 투명하고 향기 없는 오일로 알레르기 반 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고 군거나 모공을 막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 원료로 많이 쓰인다. 미 네랄 오일이 페트롤리툼(petrolatum . 바셀린)과 관런이 있기 때문에 피부에 해로울 것이 라 생각하기 쉽지만, 페트롤리툼도 땅에서 나는 천언성분이며 미네랄 오일의 형태로 추출 되면 원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mosa tenuiflor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mosa tenuiflora extract :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추출물, 미모사 추출물. 전통적으 로 상처나 화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맥시코에서는 테페스코위트(Tepescohuite) 라는 이름으로 특히 많이 사용했다. 그러나 이 물질이 효과적인지. 잠재적으로 피부에 성을 지닌 것은 아닌지에 대한 상반되는 중거들이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mosa oil or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mosa oil or extract : 미모사 오일 또는 추출물. 화장품 향료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llet seed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llet seed extract : 밀리트 씨 추출물. 기장씨 추출물. 곡물 추출물의 일종. 피부에 아무런 효과가 없지만 피부 컨디셔닝제로 자주 첨가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lk vetch roo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lk vetch root : 밀크메치 뿌리. 황기. 항산화 기능을 갓는다는 연구 보고가 상당히 있 지만 발렀을 때노도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lk prote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lk protein : 밀크 프로테인. 우유단백질. 단백질(protei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crocystis aeruginos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crocystis aeruginosa : 마이크로시스티스 아에루기노사. 스피률리나(spiulina)의 라틴학명. 조류(algae )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crocrystalline w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crocrystalline wax :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석유에서 추출하는 고도로 정제된 플라스틱 타입의 왁스. 농후제로 쓰이며 반고체 제품을 견고하면서도 부드러운 질감을 갓 도록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Mic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ica : 마이카. 토양 미네랄로 제품에 반짝이는 효과를 준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xoryl s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xoryl sx: 멕소릴sx. 에캄술(ecamsule)이라고도 불리며, 학술 용어는 테레프탈리 다인디캠퍼설포닉산(terephthalylidine dicamphor sulfonic acid)이다. 로레알이 개발하고 특허를 가지고 있는 합성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1991년 유립에서 최초로 승인을 받았고 1993년 이후 미국 밖에서 판매되는 자외선 차단제에 사용되고 있다. 2006년 7월, FDA는 멕소릴sx의 사용을 승인했지만 단 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sulfonylmetha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sulfonylmethane : 메칠설포니메탄. MSM으로도 부른다. 황 복합물로 관절염 이나 다른 신체 질환에 이롭디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신빙성 있는 논문이 없다. 발랐을 때 의 효능에 대한 연구도 없다. 황은 인체의 모든 세포에 저장되어 있으며 특히 머리카락. 손톱, 연골 조직, 피부 등에서 중요한 구조 단백질이다. MSM 제조업자들이 지원한 소규 모 실험 두 건이 있었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sufonylsulf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sufonylsulfate : 메칠서포닐설페이트. 항산화제(antioxida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silanol PEG-7 glyceryl coco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silanol PEG-7 glyceryl cocoate : 메칠실라놀PEG-7글리세릴코코에이트. 화 장품의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글리세릴에스테르(glyceryl ester)와 실리콘(silicone) 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silanol mannuro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silanol mannuronate : 메칠실라놀마누로네이트. 실리콘(silicon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propanedi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propanediol : 메칠프로파네디올. 용해제로 사용되는 글리콜의 일종. 성분의 침 투율을 돕는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parab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paraben : 메칠파라벤. 파라벤(parabens), 방부제(preservatives)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isothiazolin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isothiazolinone :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피부에 남았을 때 자극을 일으길 수 있 기 때문에 물로 씻어내는 제품에만 사용해야 한다.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methy- Ichloroisothiazolinone ), 방부제(preservatives)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eugen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eugenol : 메칠유제놀. 장미, 바질, 블랙베리, 시나몬, 아니스 등의 식물 오일의 천연 구성 요소. 화장품 산업 소식지인 [로즈시트! 1998년 11월 9일자에 따르면 미국 독 극물프로그램국 자문단은 메칠유제놀이 에센스 오일의 구성 요소로 쥐 실험에서 암을 일 으킨다는 확실한 증거를 보여주었다고 발표했다. 동물 실험 결과인 만큼 사람에게 그대로 적용될 수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dihydrojasmo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dihydrojasmonate 메칠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합성 향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dibromo glutaronitril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dibromo glutaronitrile : 메칠디브로모글루타로나이트릴. 포름알데히드 방출 방부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chloroisothiazolin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chloroisothiazolinone :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매철이소티이줄리논과 결합해 '캐손 CG' (Kathon CG)라는 상품명이 붙었다. 1970년대 화장품 원료로 소개되었 지만, 소비자들에게 엄청난 민감 반응을 일으쳤다. 이로 인해 물로 씻어내는 체품 이외에 는사용하지 않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yl gluceth-2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yl gluceth-20 : 메칠글루세스- 20. 보습제와 스킨 컨디서닝제로 스이는 액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ion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ionine : 메치오닌. 아미노산(amino acid), 항산화제(antoxidant)를 참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than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thanol : 메탄올. 알코올(alcoh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nthyl lac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nthyl lactate : 멘틸락테이트. 화장품 냉각제와 향료로 사용. 멘톨에서 파생된 물질 이며 멘톨보다는 덜 자극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자극제(counter-imitant), 멘 툴(menth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nthoxy propanedi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nthoxy propanediol : 멘톡시프로파네디올. 멘톨에서 파생된 합성물질. 멘톨보다 두 배나 강력해서 피부와 입술 역시 두 배의 자극을 받는다. 주로 립 플럼핑 제품에 많이 쓰인다. 멘톨(menth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nth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nthone : 멘톤. 페퍼민트의 주성분. 페퍼민트(peppermi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nt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nthol : 멘톨. 페퍼민트에서 추출. 페퍼민트의 자극과 비슷한 반응을 일으킨다. 역자 극제(counter-irritant)와 페퍼민트(peppermi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ntha virid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ntha viridis : 멘사 비리디스. 스피어민트. 역자극제(counter-irritant), 스피어민트 오 일(spearmint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ntha spica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ntha spicata : 멘사 스피카타. 스피어민트. 역자극제(counter-irritant), 스피어민트 오일(spearmint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ntha piperi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ntha piperita : 멘사 피페리타. 페퍼멘트. 역자극제 (counter-iritant), 페퍼민트(pep- permi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ntha arvens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ntha arvensis : 멘사 아르벤시스. 박하. 콘민트(cormi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lissa officinal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lissa officinalis : 벨리사 오피시날리스, 밤 빈트 추출물(balm mint extract), 역자극 제(counter-irrita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libio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libiose : 멜리비오즈, 훌륨한 보슈 효괴를 지닌 사카라이드(당류), 무코풀리사카라이 드(mucopolysaccharide), 연보슈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차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lia azadirach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lia azadirachta : 멜리아 아자디라챠, 님 추출물 또는 오일(neem evunact or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lasm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lasma : 멜라즈마. 기미와 검버섯 등 피부 잡티를 통칭한다. 얼굴, 손, 흉부, 목에 나 타나는 검은색 반점을 뜻한다. 기미의 주된 윈인은 임신, 경구 복용 피임약, 태양광 노출 둥에 의해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lan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lanin : 멜라닌. 피부와 머리카락에 색을 주는 세포 속의 색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lam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lamine : 멜라민. 요소에서 추출되며 피막 형성제로 사용된다. 피막 형성제(flm- forming age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laleuca cajeputi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laleuca cajeputi oil : 멜라레우카 카예푸티 오일. 티트리 오일과 같은 좋의 식물에서 추출되지만, 항균 성질을 갖는다는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일 (토) 05: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laleuca alternifoli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elaleuca alternifolia : 멜라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티트리 오일(ea tree oi)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