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27일 (일) 09: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NM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natural moisturizing facto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Amino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mino acid : 아미노산, 인체에서 발견되는 모든 단백질의 기본 요소로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 아스파산, 시스테인, 시스틴, 글루타민산,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로린,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티로신, 발린 등이 있다. 이 중 일부는 신체에서 합성되고 다른 필수아미노산은 단백질 섭취로 공급한다. 화장품에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uminum sulf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uminum sulfate: 알루미늄설페이트, 데오도란트 제품에 첨가된 바르는 살균제. 자극을 일으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uminum starch octenylsucci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uminum starch octenylsuccinate : 알루미늄스타치옥테닐석시네이트 가루 농후제, 피지 흡수제, 응고 방지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uminum silic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uminum silicate: 알루미늄실리케이트. 피지 흡수와 함께 스크럽 알갱이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uminum powd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uminum powder : 알루미늄 파우더, 알루미늄 가루, 염료로 쓰이는 금속. 알루미늄을 곱게 간 입자이다. 1977년 이후부터 안전한 색소 첨가제로 FDA의 영구승인을 받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uminum magnesium silic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uminum magnesium silicate: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피지 흡수제의 기능을 가진 소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uminum cholorohydr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uminum chlorohydrate: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화학적으로 소금을 뜻하며 발한 억제제로 쓰인다. 스크럽으로 박리된 피부에는 엄청나게 자극적이다. 겨드랑이 데오 도란트와 유방암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2002년 시애틀 프레드 허친슨 암연구소가 진행한 것으로 810명의 유방암 환자와 793명의 정상인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발한 억제제나 데오도란트...)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umin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umina: 알루미나, 알루미늄 산화물로 스크럽용 연마제, 농후제, 흡착제 등으로 쓰인다. 분류:연마제 분류:농후제 분류:흡착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thea officinal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thea officinalis: 알티아 오피시날리. 마시멜로우 나무의 라틴 학명. 말로우(mallow)를 참조. 분류:Mallow)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27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thaea ros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thaea rosea: 알티아 로지아, 접시꽃 말로우(mallow)를 참조. 분류:Mallow)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teromonas fermen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teromonas ferment extract: 알테로모나스발효추출물, 바닷물에서 발견되는 그)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pha tocopher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pha-tocopherol : 알파-토코페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9: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pha lipo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pha lipoic acid: 알파리포익애씨드, 알파리포산 피부에 바르는 효소 성분으로 훌륭한 항산화제이다. 알파리포산에 대한 연구가 있기는 하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았다. 또 주름 제거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이중 맹검제나 플라시보 효과와 비교해 보지도 않았다. 연구는 세포 배양접시에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알파 리포산을 복용...)
- 2023년 8월 27일 (일) 09: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AH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HA)
- 2023년 8월 27일 (일) 09: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pha hydroxy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pha hydroxy acid : 알파하이드록시 애씨드 알파하이드록시산. AHA를 참조. category:AHA )
- 2023년 8월 27일 (일) 09: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pha glucan oligosacchar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pha glucan oligosaccharide: 알파글루칸올리고사카라이드, 연화제이며 보습 작용을 한다. 무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를 참조. category:muco poly saccharide )
- 2023년 8월 27일 (일) 09: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Aloe ver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oe vera category:slip agent )
- 2023년 8월 27일 (일) 08: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Horse chestnu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빈 문서를 만듦)
- 2023년 8월 27일 (일) 08: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Bisabol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sabolol)
- 2023년 8월 27일 (일) 08: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pha bisabol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pha bisabolol : 알파비사볼롤 비사볼롤(bisabol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oe ver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oe vera : 알로에베라 알로에 베라가 피부에 엄청난 영향을 준다는 주장에 대한 증거가 없다. 영국의 일반진료저널 1999년 10월호에 실린 논문에는 "알로에베라를 바르는 것 은 자외선으로 야기된 상처에 효과가 없다. 상처 치유를 촉진한다는 주장도 분명하지 않다. 알로에의 섭취나 외용이 임상 효과가 있는지는 현재로는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밝히고 있다. 알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oe juic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oe juice : 알로에 즙, 알로에베라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o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oe extract : 알로에 추출물, 알로에베라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oe barbadenis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oe barbadenisis 알로에 바르바데니시스, 알로에베라 (aloe vera)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mond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mond oil 아몬드오일, 아몬드씨에서 추출한 오일로 연화제로 쓰인다.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NMF)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l-trans retino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l-trans retinoic acid 올트랜스레티노산, 레틴-A, 레노바에 함유된 활성성분, 트레티노인(tretinoi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lanto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lantoin 알란토인, 오줌에서 추출되는 요산의 부산물로 진정 작용에 효과적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kyloamid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kyloamides 알킬로아마이드, 알킬로아미드, 라벨에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DEA),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TEA),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MEA)으로 표기된 성분이다. 샴푸에는 거품 형성제로 쓰인다. 농후제 및 결합제 로 쓰이기도 한다. 피부에 자극적일 수 있다. 함유된 프리 아민(free amine)이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하는 방부제와 결합해 발암물질을 생성...)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kal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kaline 알칼리. pH 7 이상은 알카리성이고, 이하이면 산성이다. 물은 pH 7이고 피부의 평균 pH는 5.5이다. 피부 자극은 pH 8 이상의 강알칼리 상태에서 주로 나타난다. 여드름균(Proprionibacterium acnes)은 알칼리 상태에서 더 활발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iphatic hydrocarb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iphatic hydrocarbon == 알리파틱 하이드로카본, 천연가스나 미네랄 오일에 들어 있는 탄화수소 용매에서 유연제까지 다용도로 사용되는 합성 용액이다. 유연제(slip agent)와 용해제(solven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42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g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gin == 알진 브라운 해초. 조류(alga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ga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gae == 알개. 조류 해조류 또는 해초, 클로로필(chlorophyll)을 함유한 모든 생물의 종류는 무려 2만 가지가 넘는다. 여러 종류가 의약품에서 항응고제, 항생제, 혈압 강하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제, 지연제, 살충제, 종양 억제제 등으로 쓰인다. 일부는 잠재적인 자극 성분으로 염증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청록색 해초에 있는 피코시아닌(phycocyanin) 은 패치 실험 결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falf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falfa extract == 알팔파 추출물, 자주개자리 추출물, 기초제품에 쓰이는 항산화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eurites Fordii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eurites Fordii oil == 알레우라이트 포르디 오일, 폴리네시아 유동나무 오일, 항균효과가 있다고 추측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cohol == 알코올 화장품에 여러 형태와 용도로 사용되는 광범위한 유기 복합물질이다. 순한 알코올로는 피부에 성분 전달을 도와주는 습윤제인 글리콜(glycol. 화장품 성분에는 클라리콜로 표기)이 있다. 지방과 기름을 화학적으로 줄이면 밀도가 낮은 지방산 알코올이 생성된다. 연화제로서 효과가 있으며 세정 성분이 되기도 한다. 분자 중량이 낮은 알코올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Cosmetic Ingredients/acetylated lanolin alcohol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acetylated lanolin alcohol == acetylated lanolin alcohol 라놀린 알코올 에스테르 연화제 모공을 막음". 유일한 편집자는 "Yuanje" (토론))
- 2023년 8월 27일 (일) 08: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clox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cloxa == 알클록사. 전문적으로 알루미늄 클로하이드록시 알런토니에이트(aluminum chlorhydroxy allantoinate)로 표기된다. 수축 효과가 있어서 피부에 자극적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2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chemilla vulgar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chemilla vulgaris == 알케밀라 불가리스, 성모초, 항균 성분을 가진 식물, 타닌 함유 량이 높아 염증을 일으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bum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bumin == 알부민 계란 흰자의 성분으로 피부에 얇은 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 막은 잠시 피부를 수축시켜 일시적으로 더 부드럽게 만들지만, 자극을 일으키기 때문에 피 부에 좋지 않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Alan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lanine == 알라닌,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juga turkestanic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juga turkestanica extract == 이유가 터르케스타니카 추출물, 아시아산 식물 추출물로 이 식물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세포 내에 존재하는 아쿠아포린(aquaporin)의 활동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한다. 아쿠아포린(aquapori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Ahnfeltia concinn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hnfeltia concinna extract == 안펠티아 콘시나 추출물, 조류 추출물의 일종. 조류 (alga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AH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HA == 알파하이드록시애씨드, 알파하이드록시산. AHA는 여러 종류의 식물에서 추출하 거나 우유에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품에 사용되는 AHA의 99%는 합성이다. 함유율이 3% 미만으로 낮으면 보습제로 작용하고, 4% 함유율에 pH 3~4 이면 각질 제거 효과가 있다. 연구를 통해 증명된 가장 효과가 좋은 AHA의 형태는 글리콜산과 락트산이다. 사과산(malic acid), 구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Agrimonia eupatoria leaf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grimonia eupatoria leaf extract ==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 잎 추출물, 식물추출 물로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억제하고 항산화제의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하지만 피부에 발랐을 때 효과가 있는지 알려진 바가 없다. 셀룰라이트(지방이 멍울지는 현상)를 없애준다는 주장은 증명되지 않았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Agaricus bisporus ex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garicus bisporus extract == 아가리쿠스 비스포루스 추출물, 양송이버섯 추출물. 세포 성장을 억제해 세포 부산물의 양을 조절해 준다. 건선 치료에 쓰이지만 효과에 대해서 는 아직 찬반이 분분하다. 섭취하면 유방암과 대장암의 종양이 커지는 것을 막아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15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rbs/agaricus bisporus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agaricus bisporus extract == 아가리쿠스 비스포루스 추출물 양송이버섯 추출물 세포 성장을 억제해 세포 부산물의 양을 조절해 준다. 건선 치료에 쓰이지만 효과에 대해서 는 아직 찬반이 분분하다. 섭취하면 유방암과 대장암의 종양이 커지는 것을 막아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유일한 편집자는 "Yuanje" (토론))
- 2023년 8월 27일 (일) 08: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Aga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gar == 아가. 연화제 및 농후제로 사용되는 해초 추출물, 조류(alga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7일 (일) 08: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rbs/agar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agar 아가 연화제, 농후제로 사용되는 해초 추출물 조류(algae)를 참조.". 유일한 편집자는 "Yuanje" (토론))
- 2023년 8월 27일 (일) 08: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Aesculus hippocastan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esculus hippocastanum == 아에스쿨루스 히포카스타 호스 체스넛 추출물(horse chestnut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