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9월 1일 (금) 06: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cotyl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cotyl extract : 하이드로코틸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rocortis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cortisone: 하이드로코티손, 부신피질 호르몬으로 합성할 수 있다. 피부에 강력한 항염 기능이 있으나 장기간 사용하면 피부 콜라겐을 파괴하고 쉽게 손상될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dnocarpus anthelmintic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nocarpus anthelmintica : 히드노카르푸스 안셀민티카 인도산 나무의 학명. 대풍 자유(chaulmoogra oil)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brid sunflower seed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brid sunflower seed oil : 하이브리드 해바라기씨 오일, 비휘발성의 식물 오일로 연화제로 쓰인다. 토코페롤(비타민 E)의 천연 원료 비타민 E(Vitamine 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Hyaluron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aluronic acid : 하이알루로닉애씨드, 히알루론산, 화장품의 훌륭한 보습 성분으로 쓰이는 피부 조직의 구성 성분,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06:27 Yuanje 토론 기여님이 Humulus lupulus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umulus lupulus extract : 휴물루스 루풀루스 추출물, 홉(hops)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Humecta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umectant : 습윤제, 보습제(water-binding agent)를 참조 분류:Water-binding age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Huangg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uanggi : 황귀, 황기(milk vetch root)를 참조, 분류:황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Horsetail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orsetail extract : 호스테일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다량의 타닌, 알칼리성 니코틴을 함유한 식물 추출물로 피부 수렴 효과가 있어서 자극을 일으킨다. 항산화 효과도 있지만 피부 자극이 없는 항산화제를 쓰는 것이 낫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Horseradis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orseradish : 호스래디시, 겨자무 피부 자극을 일으키는 식물로 박피 피부에 절대 발라서는 안 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Horse eld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orse elder : 호스엘더. 엘레캄파인(elecampan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Horse chestnu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orse chestnut extract : 호스체스트넛 추출물 피부에 항염 기능이 있다. 복용 시정 맥을 둘러싼 탄력 조직을 개선해 종아리 부종을 경감시킨다. 에스신(esci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Hordeum vulgar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ordeum vulgare extract : 호르데움 불가르 추출물, 보리 추출물(barley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Hop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ops : 홉. 흠이 피부에 이롭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 그러나 항산화와 항균 성질, 에스트 로겐 성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8 Yuanje 토론 기여님이 Hoel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oelen : 호엘렌, 전 세계에서 소나무나 그밖의 다른 나무 뿌리에 기생해 자라는 버섯. 피부에 바르면 항균, 방부제, 상처 치료, 보습 등의 효과를 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Histid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istidine: 히스티딘,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분류:Amino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Hippophae rhamnoid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ippophae rhamnoides : 히포파에 라노이데스 산자나무, 시벅손(sea buckthor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Himanthalia elongat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imanthalia elongate extract : 히만탈리아 엘롱가타추출물, 해조류의 구성 성분. 조류(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xylene glyc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xylene glycol : 헥실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xyl laur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xyl laurate : 헥실라우레이트, 스킨 컨디셔닝제와 연화제로 쓰이며 헥실알코올 (hexyl alcohol)과 라우릭산(lauric acid)의 복합물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speridin methyl chalc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speridin methyl chalcone : 헤스페리딘메칠찰콘. 다크서클을 없애준다고 주장하는)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sperid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speridin : 헤스페리딘, 레몬이나 달맞이꽃 오일 등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플라보 노이드이다. 햇볕 손상을 줄여주고 일부 암을 예방하는 강력한 항산화제이다. 복용 시 혈액 순환 개선과 모세혈관 강화 기능이 있다. 셀룰라이트 억제 기능과 관련된 연구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patocyte growth facto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간세포성장인자. 간, 피부 세포, 피부색을 생산하는 세포 분열을 촉진한다. 인간성장인자(human growth factor)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mp seed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mp seed oil : 헴프씨 오일. 칸 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 헴프와 마리화나는 칸나비스속이기 때문에 종종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오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헴프에는 마리화나의 활성 성분인 THC(delta-9-tetrahydrocannabinol)가 없기 때문에 약으로 쓰이지 않는다. 헴프씨 오일은 화장품에서 연화제로 사용된다. 피부에 이롭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lianthus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lianthus oil 헬리안투스 오일, 해바라기 오일, 해바라기 오일 (sunflower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di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dione : 헤디온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합성향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dera heli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dera helix: 헤데라 헬릭스, 잉글리시 아이비 (English ivy)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Heavy wat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avy water : 헤비워터. 중수(重水). 수소 원자가 중수소(deuterium)로 대치된 물, 핵 반응로의 냉각제로 주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Hazelnut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azelnut oil : 헤즐넛 오일, 헤즐넛에서 추출하는 오일로 연화제로 쓰인다.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Hayflower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ayflower extract : 헤이플라워 추출물, 식물 추출물로 피부를 수축시키는 효과때문에 자극을 줄 수 있다. 피부에 효능이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7 Yuanje 토론 기여님이 Hawthorn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awthorn extract : 호손추출물 복용 시 혈액 순환을 개선해 준다. 호손의 바이오플라보노이드는 강력한 항산화제이다. 그러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이롭다는 증거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7 Yuanje 토론 기여님이 Haslea ostreari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aslea ostrearia extract : 하슬레아 오스트레아리아 추출물, 청말 추출물, 원액으로 피부에 바르면 항바이러스 성질을 갖는다. 조류(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6 Yuanje 토론 기여님이 Hamamelitann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amamelitannin: 하마멜리타니 위치하젤에서 발견되는 타닌 성분. 피부에 자극을 일 으킬 수 있지만 강력한 항산화제이다. 타닌(tannin)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6 Yuanje 토론 기여님이 Hamamelis virginian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amamelis virginiana : 하마멜리스 버지니아나. 위치하젤 위치하젤(witch haze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Gum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ums : 검. 보습 성분이면서 농후제로 주로 쓰인다. 일부 검은 끈적이는 느낌이 있어 헤 어 스프레이의 피막 형성제로 쓰인다. 다른 검 중에는 피부를 수축시켜 자극을 일으키는 것이 있다. 아카시아(acacia), 트라가칸스(tragacanth), 로커스트 빈(locust bean) 같은 천연 농후제도 검의 일종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Guaran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uarana: 과라나. 커피보다 2.5배나 많은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허브, 피부 수렴 효과가 있어 자극적이다. 카페인(caffein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Guar g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uar gum : 구아검, 농후제로 쓰이는 식물 추출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Guaiacum officinal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uaiacum officinale: 구아이아쿰 오피시날, 구아이악우드(guaiac wood)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Guaiac woo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uaiac wood: 구아이악우드, 화장품에 향으로 쓰인다. 엄청난 피부 자극제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Green t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reen tea : 그린티. 녹차 홍차, 녹차, 백차 등 차가 건강에 좋은 물질을 전달한다는 연구 결과는 수없이 많다. 특히 항산화 기능과 항암 효과를 지적한다. 그러나 이 중 많은 연 구가 동물 실험에만 의존하고 사람의 피부에는 적용하지 않았다. 또한 바르는 효과에 대한 정보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광화학&광생물학저널은 녹차 속의 활성 성분인 폴리페놀 (polyphe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Grapefruit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rapefruit oil : 그레이프프루트 오일, 자몽 오일. 훌륭한 항산화 기능을 가진 유연 오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Grape seed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rape seed oil : 그레이프씨 오일, 포도씨 오일. 항산화 성질을 갖고 있는 좋은 연화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Grape seed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rape seed extract : 그레이프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포도를 바르면 주름이 개선 된다는 연구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 그러나 포도씨 추출물은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s)을 함유해 항산화 작용을 할 가능성이 매우 크고 햇볕 손상과 유리기 손상 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상처 치료도 해준다. 포도 종류에 따라 항산화 효과의 차이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Gotu kol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otu kola : 고투콜라, 병풀(Centella asiatica)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7: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Goldensea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oldenseal : 골든실, 복용 시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진다. 피부에 발랐을 때도 같은 효과를 갖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피부 자극을 일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12: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마치현(馬齒莧)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의 지상부를 약간 찌거나 끓는 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 개요 == 마치현(馬齒莧)이라는 이름은 잎의 생김새가 말 이빨[馬齒]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오행초(五行草)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잎이 퍼렇고 줄기가 붉으며 꽃이 누렇고 뿌리가 허여며 씨가 거멓기 때문이다. 몸속의 열을 내리고 열독을 없애 주며[淸熱解毒], 피를 맑게 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Gol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old : 골드, 금, 얼굴과 눈꺼풀에 피부염을 유발하는 잘 알려진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Dipotassium glycyrrhizinate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ipotassium glycyrrhizinate : 디포타슘글리시리지네이트. 진정제로 쓰이는 감초추출물, 진정제(anti-irritant)와 감초 추출물(licorice extract)을 참조. 분류:유안재성분 분류:Anti-irritant(진정제) 분류:감초". 유일한 편집자는 "Yuanje" (토론))
- 2023년 8월 30일 (수) 06: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분류:감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Glycyrrhiza glabra : 글리시리자 글라브라 == 감초, 글리시레틱산(glycyrrhetic acid)과 감초 추출물(licorice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6: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Glycyrrhet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lycyrrhetic acid :글리시레틱애씨드, 글리시레틱산, 감초 추출물로 항염 기능이 있다. 감초 추출물((licorice extract)을 참조. 분류:감초)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