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8월 30일 (수) 00: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Fructo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ructose: 프룩토오스, 과당, 포도당(glucose·글루코오스)으로 구성된 당분의 일종. 피부에 수분을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보습제(water-bining agent)를 참조. 분류:Water-binding age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Free-radical damag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ree-radical damage: 프리래디컬 데미지. 유리기 손상, 활성산소 손상, 주름이나 잡티와 같은 피부 손상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유리기 손상은 원자 레벨에서 일어나는 매우 복잡한 생리학적 과정이다. 분자는 원자로 구성되었다. 1개의 원자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로 이루어진다. 전자는 항상 쌍으로 발견된다. 그러나 산소가 피부와 반응하면 전자 하나를 잃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Frankincen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rankincense extract : 프랭킨센스 추출물, 유향추출물, 화장품에 쓰이는 향이다.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에 이롭다는 연구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Frangipan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rangipani : 프랭지파니플루메리아 알바 꽃 추출물(Plumeria alba flower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Fragranc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ragrance : 프래그런스, 향, 휘발성이 있고 향기가 있는 식물 오일(혹은 합성 오일)로 제 품에 아로마 향을 부여한다. 종종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 휘발성 오일(volatile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Formaldehyde-releasing preservativ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ormaldehyde-releasing preservative: 포름알데히드 방출 방부제, 화장품에서 흔히 발견되는 방부제, 다른 방부제에 비해 피부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는 않는다. 사실 방부제가 피부에 주는 위험성보다는 방부제를 화장품에 쓰지 않았을 때의 위험성이 더 크다. 왜냐하면 오염으로 인해 박테리아와 곰팡이가 성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름알데히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Fol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olic acid : 폴릭애씨드, 폴릭산, 엽산, B-비타민 복합물의 한 부분이다. 복용했을 경우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에 좋은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26 Yuanje 토론 기여님이 Floraloz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loralozone : 플로라로존. 합성 향 성분의 일종.)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Fl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flax : 플랙스 == 아마 린넨(linen)과 먹을 수 있는 씨를 제공하는 식물. 씨와 씨 오일은 항산화 효과가 있다. 씨는 리놀렌산의 원료가 된다. 리놀렌산(linolenic acid)을 참조. == flaxseed oil :플랙스시드 오일. 아마씨 오일 == 아마의 씨로 만들며 지방산의 원료. 플랙 스(flax)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Fish cartilag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ish cartilage extract : 생선 연골 추출물, 보습 효과를 주지만, 피부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Fir needle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ir needle oil : 퍼니들 오일, 전나무 잎 오일. 휘발성 향 오일로 피부에 자극과 민감 반응을 일으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18 Yuanje 토론 기여님이 Film-forming age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ilm-forming agent : 필름 포밍 에이전트, 피막 형성제 헤어케어 제품에 흔히 쓰이지만 화장품, 특히 모이스처라이저에서 널리 쓰인다. PVP에서 아크릴레이트(acrylates), 아크릴라마이드(acrylamides), 코폴리머 (copolymers)까지 다양한 물질이 이에 속한다. 모발이나 피부를 얇은 막으로 덮어 끈끈하게 고정시키고 매끈한 질감을 준다. 얇은 필름막 은 탁월한 수분 유지 효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Meadowswee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Filipendula rubra 필리펜둘라루브라 == 메도우스위트의 라틴 학명 메도우스위트 (meadowswee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Filipendula glaberrim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ilipendula glaberrima: 필리펜둘라 글라베리마, 나카이 (Nakai)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식물로 인간 섬유아세포 배양접시 실험에서 이 식물의 뿌리 추출물이 강력한 항산화제이자 콜라겐을 고갈시키는 물질인 MMP1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15 Yuanje 토론 기여님이 Fi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ficus carica fruit extract == 피쿠스 카리카열매 추출물, 피그(fig)를 참조. == fig == 피그, 무화과, 광선 피부염을 일으키는 소랄렌(psoralen)을 함유한다. 피부에 바르면 접촉성 피부염이 일어날 수 있다. 무화과의 유액은 피부 종양과 사마귀를 치료하는 외용제로 활용되지만 이는 노화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Fibronec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ibronectin:피브로넥틴 부착성 단백질, 세포간질에서 발견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과 같은 단백질의 한 종류이다. 햇볕 손상으로 인한 부착성 단백질의 기능 저하는 피부 노화와 주름 생성의 핵심요소가 된다. 모든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보습 기능이 있다. 그러나 피부에 발랐을 때는 그다지 효능이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13 Yuanje 토론 기여님이 Human growth facto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fibroblast growth factor : FGF == 섬유아세포성장인자. 신체 내에서 신경 시스템과 뼈 의 형성을 자극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11 Yuanje 토론 기여님이 Feverfew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everfew extract : 피버퓨추출물, 화란국화 추출물, 피부에 심한 자극을 주고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복용하면 편두통을 완화시키고 항염 효과를 준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10 Yuanje 토론 기여님이 Ferula galbaniflu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erula galbaniflua: 페룰라갈바니플루아갈바눔의 라틴 학명. 갈바눔(galbanum)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09 Yuanje 토론 기여님이 Ferric ferrocyani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ferric ammonium ferrocyanide == 페릭암모늄페로시아나이드. 무기 소금 페릭페로시아나이드(ferric ferrocyanide)를 참조. == ferric ferrocyanide == 페릭페로시아나이드, 아이언 블루 (Iron Blue)로도 알려져 있다. 색조 제품, 특히 아이섀도에 쓰이는 색소이다. 1978년 이래 FDA 안전 물질 리스트에 올랐지만, 미국 환경보호국(EPA)은 수분 상태에서는 독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06 Yuanje 토론 기여님이 Fenne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fennel extract == 펜넬 추출물, 회향추출물,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 fennel oil == 펜넬 오일. 휘발성이 있는 향 오일로 피부 자극을 일으키며 피부가 민감하게 된다. 회향추출물(fennel extract)을 참조. == fennel seed extract == 펜넬 씨추출물, 회향 씨 추출물, 항산화 성질을 가질 수 있으나 피부에서는 자극과 감광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05 Yuanje 토론 기여님이 FD&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D&C: 에프디앤시. 색소의 일종. FDA에 따르면 색소에 'FD&C' 라고 붙어 있으면 식품, 약품, 화장품에 쓰여도 안전하다는 것을 뜻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30일 (수) 00:04 Yuanje 토론 기여님이 Fatty alcohol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atty alcohols : 패티알코올 지방 알코올 지방산으로 만든 알코올, 화장품의 농후제와 연화제로 쓰인다. 지방산(fatty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8:03 Yuanje 토론 기여님이 Fatty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atty acid : 패티애씨드, 지방산, 식물과 동물 지질(지방)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물질, 글리세라이드, 스테롤, 인지질 등도 지방산의 일종이다.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이며 글리세린과 섞어서 세정제를 만든다. 지방산은 피부의 천연성분이며 산화 손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최상위 보호막을 구성하는 복합물이기도 하다. 지방산은 세포 간질의 보충 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8: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Farnesyl ace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arnesyl acetate: 파네실아세테이트. 파네솔(farnes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8:02 Yuanje 토론 기여님이 Farnes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arnesol: 파네솔. 화장품 향료로 쓰이는 식물 추출물, 항균 효과를 위한 동물 실험이 있다. 항산화 기능에 대한 추측도 있지만 피부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는 연구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8: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Fagus sylvatic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agus sylvatica extract : 파거스 실바티카추출물, 파거스 실바티카는 너도밤나무의 학명. 이스트(yeas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8: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Fae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aex: 파엑스, 이스트(yeas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8:01 Yuanje 토론 기여님이 Eyebrigh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yebright : 아이브라이트. 좁쌀풀, 눈주위에 이로울 것 같지만 이를 증명하는 연구는 없다. 눈과 관련한 효과는 속설에 지나지 않는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8:00 Yuanje 토론 기여님이 Ext. D&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xt. D&C.: EXT. 디앤시. 일종의 색소. FDA에 따르면 색소 뒤에 Ext. D&C'가 붙어 있으면 외용 약품이나 화장품에 안전한 성분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눈이나 입가에도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음식에도 안전하지 않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9 Yuanje 토론 기여님이 Evening primrose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vening primrose oil :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 달맞이꽃 오일. 피부에 항염 및 연화제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 오일이 월경전증후군의 특정 증상을 완화해 줄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브닝 프림로즈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들을 보여 주었다. 가장 활발한 2건의 연구는 효과의 증거가 없다는 것을 밝혔다. 감마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을 참조. 분류:Emolient [...)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Euphrasia officinal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uphrasia officinalis: 유프라시아 오피시날리스, 아이브라이트의 라틴 학명 아이브 라이트(eyebright)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8 Yuanje 토론 기여님이 Euglena gracil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uglena gracilis : 유글레나 그라실리스, 해조류의 일종. 조류 (algae)를 참조.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Eugen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ugenol : 유제놀, 클로브 오일 (clove oil)과 메칠유제놀(methyleugen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Eugenia caryophyll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ugenia caryophyllus : 유제니아 카리오필루스, 클로브 오일 (clove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Eugenia aromatic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ugenia aromatica : 유제니아 아로마티카, 클로브의 라틴 학명, 클로브 오일 (clove oi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6 Yuanje 토론 기여님이 Eucalyptus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ucalyptus oil : 유칼립투스오일, 유칼립투스 추출물(eucalyptus extr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Eucalyptus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ucalyptus extract : 유칼립투스 추출물, 피부에 항균, 곰팡이 억제,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지만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박피된 피부를 예민하게 만든다. 역자극제 (counter-irritant)를 참조. 분류:Counter-irri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Etidron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tidronic acid : 에티드로닉애씨드, 에티드론산, 알코올(alcoh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Ethylparab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thylparaben: 에칠파라벤, 파라벤(parabens)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Ethylhexyl stear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thylhexyl stearate: 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Ethylene glyc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thylene glycol: 에칠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Ethyl vanill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thyl vanillin: 에칠바닐린, 바닐라에서 추출되는 향신료, 항산화 기능이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45 Yuanje 토론 기여님이 Ethyl macadami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thyl macadamiate: 에칠마카다미에이트. 마카다미아 넛 오일에서 추출하는 지방산 복합물. 지방산(fatty acid)과 마카다미아 넛 오일(macadamia nut oil)을 참조. 분류:Fatty acid 분류:Macademi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44 Yuanje 토론 기여님이 Eth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thyl alcohol: 에칠알코올, 알코올(alcoh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Ethoxydiglyc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thoxydiglycol: 에톡시디글라이콜, 용해제 (solvent)를 참조. 분류:Solve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Ethan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thanol : 에탄올, 알코올의 일종. 알코올(alcohol)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Estradi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stradiol : 에스트라디올, 신체에서 생산되는 3대 주요 에스트로겐 중 하나이다. 다른 2 가지는 에스트론(estrone)과 에스트리올(estriol), 에스트리올은 물리적으로 가장 활발한 에스트로겐이다. 호르몬대체요법(HRT)과 피임약으로 주로 에스트라디올을 처방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에스트라디올을 피부에 바르면 고유의 항염 효과로 인해 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Ester-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ster-C: 에스터-C. 에스테르-C. 여러 종류의 비타민 C가 혼합된 복합제의 상품명 미량의 비타민 C 대사산물인 디하이드로아스코르브산(dehydroascorbic acid 산화아스코 르브산), 칼슘 트레오네이트(calcium threonate), 극미량의 자일로네이트(xylonate)와 릭소네이트(Lyxonate)를 함유한다. 제조업자는 함유된 대사산물, 특히 트레오네이트가 신 체내에서 비타민 C의 활용도를 증...)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8월 29일 (화) 17: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Est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ster : 에스테르, 에스터, 수분을 제거했을 때 알코올과 산(酸)사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 트리에스테르(3 에스테르 그룹)는 여러 지방과 왁스, 오일 등 의 주성분이 되어 피부 연화 효과와 피부 조절 효과를 낸다. 화장품에 쓰이는 대부분의 에스테르는 자극이 없고 특히 건성 피부에 좋은 효과를 준다.)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