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안재 천연화장품 백과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9월 1일 (금) 22:57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gerstroemia indic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gerstroemia indica extract : 라제르스트로에미아 인니카 추출를. 배롱나무 추출물. 크레프 머틀이라고 알려져 있다. 피부에 이롭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5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dy' s thistl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dy' s thistle extract : 레이디스 티슬 추출물. 복용 시 다양한 의학적 건강제로 쓰일 수 있다는 다수의 연구가 있다. 피부에도 같은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없으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고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dy' s mantle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dy' s mantle extract : 레이디스 맨틀 추출물. 성모초(Alchemilla vulgaris)를 감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4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ctoperoxida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ctoperoxidase : 락토퍼옥시다아제. 우유에서 추출되는 효소로 항균 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3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ctoferr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ctoferrin : 락토페린. 우유(특히 모유)에서 추출하는 단백질로 살리바에서 발건된다. 피부에 항바이러스, 항균, 항염 효과를 준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ctobion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ctobionic acid : 락토바이오니애씨드. 라트바이오산. 폴리하이드록시산(polyhydroxy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2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ctobion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ctobionate ; 락토바이오네이트, 폴리사카라이트(다당류), 보슈 기능이 있다. 폴리하이드록시산(polyhydroxy acid)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1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ctobacillus bifid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ctobacillus bifidus : 락토바실러스비피더스, 비피더스 추출물(bifidus ertnact)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50 Yuanje 토론 기여님이 Lact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actic acid : 락틱애씨드. 라트산. 젓산. 우유에서 추출하는 알파하이드록시산.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은 대개 합성물이다. 피부 세포를 엉커 있게 하는 물질을 떼어 놓아 표피의 각질을 제거한다, 점막을 자극하고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Kukui nut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ukui nut oil : 쿠쿠이넷 오일. 비휘발성 오일로 하와이 원산 식물에서 추출. 피부 연화효과가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49 Yuanje 토론 기여님이 Kudzu roo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udzu root : 쿠주 뿌리. 칡. 이소플라본(isoflavone), 게니스타인(genistein), 다이제인(daidzein) 등 모든 식물 에스트로겐의 원로로 막강한 항산화제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48 Yuanje 토론 기여님이 Konjac powd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onjac powder : 곤약 가루. 흡수 기능이 뛰어난 식이섬유이나 다른 식품(예를 들어 옥수수전분)이나 식품이 아닌 물질(탈크, 마그네습 혹은 다른 광물질)보다 나을 게 없다. 여드름에는 피지 흡수제가 도움이 되지만 식품이 첨가된 피지 흡수제는 박테리아를 조장할수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47 Yuanje 토론 기여님이 Kola nu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ola nut : 콜라넷.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카페인이며, 이는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 또한 콜라넛은 니트로사민을 형성하는 주요 아민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할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46 Yuanje 토론 기여님이 Koj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ojic acid : 코직 애씨드. 코직산. 청주(일본 주) 제조 시 싸엇을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다. 놓물 실험과 배양점시 실힘을 통해 코지산이 펠라닌 생성을 억제해 준다는 확실한 효과가 중명뇌었다. 글리콜산에 하이드로키논 을 쉬어 치방하는 것과 마잔가지로 글리콜산과 코직산도 모두 멜라즈마 환자의 피부 착색을 개선하는 죠과가 있다. 그런데 왜 코...)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22: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Kiwi fruit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iwi fruit extract : 키위 추출물, 식품으로서 키위는 비타민 C보다 휠씬 홈률한 항산화기능을 가지고 있다. 피부에도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증명된 바없다. 키위의 산 성분은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43 Yuanje 토론 기여님이 Kine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inetin : 키네틴. 상품명은 N6 푸르푸릴라데닌' (N6-furfuryladenine)이다. 세포 분열을 담당하는 식물 호르몬이다.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노화 억제, 햇별 손상 개선, 불거진 모세혈관 감소 등 임상적으로 증명된 많은 피부 효능이 있는 '천연 화장품 성분으로 홍보했다. 하지만 식물이나 시험관 세포, 심지어 파리에 키네틴의 효과를 실험한 상당수의 연구가 있지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41 Yuanje 토론 기여님이 Kigelia african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igelia africana extract : 키겔리아 아프리카나 추출물. 소시지나무열매(소시지 나무라고 알려진 아프리카 식물) 추출물. 아프리카의 민간요법에 따르면 유방 조직을 탄탄하게 해 준다고 하지만 이 미신을 지지하는 연구는 없다. 피부에 이롭다는 증거도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40 Yuanje 토론 기여님이 Kelp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elp extract : 켈프 추출물. 조류(algae)를 참주 분류:Alga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Kaw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awa extract : 카와 추출물, 카바카바 추출물(kava-kava extract )을 참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9 Yuanje 토론 기여님이 Kava-kava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ava-kava extract : 카바카바 추출물. 항임 성질을 갓는 식물 추출물. 피부 자극과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7 Yuanje 토론 기여님이 Katrafay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atrafay oil : 카트라파이 오일. 항염 효과가 있는 식물 연화 오일. 이를 증명하는 연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Kathon C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athon CG: 카톤CG,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methylchloroisothiazolinone)을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6 Yuanje 토론 기여님이 Kaol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aolin: 카올린, 천연 클레이 미네랄(silicate of aluminum 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 화 장품의 피지 흡수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5 Yuanje 토론 기여님이 Juniperus commun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uniperus communis : 주니페루스 코무니스. 두송 추출물,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를 참조. 분류:Juniper berry)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Juniper ber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uniper berry : 주니퍼베리 피부에 항염 효과가 있지만 반복 사용하면 메탄올 성분이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 분류:Juniper berry)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4 Yuanje 토론 기여님이 Juhu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uhua : 국화, 국화 추출물(chrysanthemum extract)을 참조. 분류:국화)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3 Yuanje 토론 기여님이 Jonquil extra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onquil extract : 존킬 추출물, 노란 수선화 추출물, 강한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향 식물추출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2 Yuanje 토론 기여님이 Jojoba w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ojoba wax: 호호바 왁스. 호호바 오일의 반고체 부분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NMF 분류:Jojob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Jojoba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ojoba oil : 호호바 오일. 다른 비휘발성 식물 오일과 비슷한 연화 오일. 천연보습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s)를 참조. 분류:Jojoba 분류:NMF)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1 Yuanje 토론 기여님이 Jewel wee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ewelweed: 주얼위드. 곰팡이 억제 성질이 있다. 동물 실험 결과 복용 시 접촉성 피부염 으로 인한 가려움을 멈추게 했다고 하지만, 피부에 발랐을 경우에는 플라시보 효과와 큰 차 이가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30 Yuanje 토론 기여님이 Jasminium grandiflor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asminium grandiflorum : 재스미니움 그란디플로룸. 재스민오일(jasmine oil)을 참조. 분류:Jasmi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9 Yuanje 토론 기여님이 Jasmine o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asmine oil : 재스민오일, 향수 원료로 종종 쓰이는 향 오일. 피부 자극이나 민감 반응 을 일으킬 수 있다. 곰팡이 억제 성질이 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8 Yuanje 토론 기여님이 Dandeli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apanese dandelion: 재패니즈 단델리온 일본 민들레 쥐의 피부에서 종양 억제 반 응을 한다는 소수 연구가 있다. 그러나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서양민들레추출물 (dandelion extract)을 참조. 분류:Dandelio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6 Yuanje 토론 기여님이 Japan w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apan wax : 재팬 왁스, 일본 밀랍, 옻나무에서 추출하는 밀랍. 화장품의 농후제와 연화 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5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tretino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tretinoin : 이소트레티노인. 아큐탄(Accutane)을 참조. 분류:Accutan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4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stearic ac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stearic acid : 이소스테아릭애씨드, 이소스테아르산 결합제와 농후제로 쓰이는 지 방산, 지방산(fatty acid)을 참조. 분류:Fatty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3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stearamideDE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stearamideDEA: 이소스테아라마이드DEA. 계면활성제, 보습제, 농후제로 쓰인다. 계면활성제(surfactant), 보습제(water-binding agent), 농후제(thickening agent)를 참조. 분류:Water-binding agent 분류:Thickner 분류:Surfacta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2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propyl palmi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연화제와 농후제로 쓰인다. 어떠한 종류 이든 연화제나 농후제는 사용량과 빈도에 따라 모공을 막는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propyl myris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농후제와 연화제로 쓰인다. 동물 실험 에서 모공을 막는 원인이 된다고 밝혀졌으나 신빙성이 없으며 이 성분이 다른 연화제보다 더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없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1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propyl lanol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propyl lanolate: 이소프로필라놀레이트, 라놀린에서 추출하며 화장품의 농후제와 연화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propyl alcoh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propyl alcohol: 이소프로필알코올, 알코올(alcohol)을 참조. 분류:Alcohol)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20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paraff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paraffin : 이소파라핀, 파라핀(paraffin)을 참조. 분류:Paraffi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9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leuci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leucine: 이소류신, 아미노산(amino acid)을 참조. 분류:Amino aci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8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hexadeca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hexadecane: 이소헥사데칸, 화장품의 세정제, 유화제, 농후제로 쓰인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8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flav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flavone: 이소플라본 강력한 항산화 성질을 지닌 식물 에스트로겐.)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7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dodeca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dodecane : 이소도데칸, 용해제로 쓰이는 탄화수소 성분, 이소도데칸은 제품이 더 잘 퍼지도록 도와준다. 피부에 무게감이 없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모든 탄화수소는 피부 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막는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cetyl salicyl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cetyl salicylate : 이소세틸살리실레이트, 소듐살리실레이트(sodium salicylate)를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6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butyl parab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butyl paraben : 이소부틸파라벤, 파라벤(parabens)을 참조. 분류:Paraben)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5 Yuanje 토론 기여님이 Isobutyl aceta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obutyl acetate: 이소부틸아세테이트. 용해제 (solvent)를 참조. 분류:Solvent)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일 (금) 13:14 Yuanje 토론 기여님이 Iron oxid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ron oxides : 아이언옥사이드. 산화철, 화장품의 색소로 쓰이는 철의 성분 '보석 세공사의 루즈' (jewelers' rouge)라 불리고 금속 광택제로도 쓰인다. 녹의 정제되지 않은 형태 로 유명하다.) 태그: 시각 편집